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인물탐구] 장수임 교수, "한국-대만 대학교류는 내게 맡겨라"


[대만은 지금 = 류정엽(柳大叔)]

어릴 적부터 국제 이슈에 관심이 많았던 장수임 교수. 그는 현재 대만 신베이시(新北市) 린커우(林口)에 위치한 성오과학기술대학교(醒吾科技大學)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는 어릴적부터 올림픽 게임을 볼 때마다 '지고 있는 팀'을 응원하던 사람, 사회적 약자에게 관심이 많은 사람이었다. 그랬기에 개도국 개발 문제, 국제 인권 분야를 공부하기 위해 중앙대 법대, 고려대 국제대학원에서 공부를 했다. 그는 그뒤 UN기구 등에서 인턴십을 수료했다. 국제개발 분야에서 커리어를 쌓으려 했지만 인생 계획에 전혀 없던 대만으로 오고 말았다. 그는 지금은 대만에서 일하고 있는 자신의 모습이 너무나 자연스럽게 느껴진다고 전했다.

[장수임 제공=대만은 지금]

 
▲ 현재 근무중인 성오대 자랑 좀 해달라.
- 학교측은 학교와 학생들을 위한 프로젝트라고 생각되면 어떻게든 여러 기관들과 협력해서 해당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해낸다.

총장과, 부총장을 비롯해 국제처장, 학과장들은 부드러우면서도 강인한 이상적인 리더십을 지녔다. 각자의 직위가 있지만 상당히 수평적인 관계가 형성되어 있어서 회의에서도 직위에 상관 없이 모두들 자유롭게 의견을 낸다. 그리고 이 의견들이 학교 발전에 도움된다고 판단되면 상당 부분 반영, 즉각 추진된다.

그러기에 경쟁보다는 서로 도와주고 이해하는 분위기를 느꼈다.

다들 학생을 최우선으로 여긴다. 학생들의 어려움, 문제나 의견들에 대해 교수, 교직원들이 굉장히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해결해준다. 피드백이나 해결 속도도 꽤 빠르다.

학생들은 졸업 학년이 되면 의무적으로 국내 혹은 해외 인턴십을 수료해야 한다. 졸업 전에 인턴십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취직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믿기 어렵겠지만 취업률은 100%라고 보면 된다. 학교 및 교수진의 산학협력 네트워킹이 상당히 넓고 강하다.

학교에서 유일한 한국인 교수로 기존에 없던 한국교류를 혼자 다 해내고 있다. 잊지 못할 국제교류 경험담이 있다면 간단히 말해달라.
- 본교(성오대)는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다각적인 국제화, 특히 한국과의 교류를 활발하게 추진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하나의 경험담을 꼽기 보다 모든 프로젝트들이 내겐 의미가 '최초'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최초로 한국으로 교환학생 파견했고, 한국 교환학생들을 초청했다. 최초 한국 일일, 단기교류 교환학생 초청, 파견, 최초 한국 인턴십교류 학생 초청 (동아대), 한국 대학들과 학술교류 MOU체결 등를 (학술교류) 맺은 후에 실질적인 교류 성과를 냈다. 이런 교류들이 앞으로 지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에 더 책임과 초점을 둘 것이다.

올해 9월 13일 한국 초청 교환학생들과 ‘대만은 지금’팀, 외부 한국어 선생님과 함께 한국 문화를 알리는 교내 행사를 했다. 떡볶이 시식과 한복 체험 행사를 진행했는데 학생들 호응이 정말 좋았다. 몸은 정말 힘들었는데 기억에 남는다.

대만 학생에게 한복을 입혀주는 장수임 교수[류정엽 촬영=대만은 지금]


학교서 한국인 혼자인데 하나부터 열까지 다 하려면 쉽지 않을텐데, 무엇이 어렵게 느껴지는지?
- 일이 힘들거나 어렵다고 생각한 적 없다. 아이를 키우다 보니 체력이 달려서 피곤하다는 생각은 많이 한다. 결국 체력 때문에 힘들다. 성오대학교 근무를 시작할 때, 딸이 막 100일 지난 때라 학교에 아기를 데려올 수밖에 없는 상황들이 있었는데 그 때마다 교수진, 학생들이 다 나서서 애기를 봐주셨다. 한국이었으면 쉽지 않았을 거다. 학교에 갚을 은혜가 너무 크다. 또, 내가 중국어가 부족하니 동료들에게 폐를 끼치면서 일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늘 있다.

힘들 때 격려해주 사람은 있는가?
- 진부한 이야기지만, 같은 학교에 근무하는 남편이 늘 투덜거리면서도 무슨 일이든 뒤에서 도와주고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그랬기에 그 어떤 난관에도 다 해낼 수 있었다. 물론 많이 싸우기도 했지만 제일 고마운 사람이 남편이다. 갑자기 눈물이 난다. 울어도 되나.

내가 무슨 일을 해보겠다고 하면 언제나 "해봐!"라고 지지해 주는 학교 동료분들이다. 한국과의 교류를 힘껏 지지하시고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시는 부총장님, 교수님들, 국제처 직원들, 학생들 모두 나의 은인이다.

장수임 교수가 학교에 온 뒤로 학교에 생긴 변화가 있다면? 간략하게 꼽아달라.
- 우리 학교로 한국 학생들이 오기 시작하면서 우리 학생들도 한국으로 교환학생이나 하계/동계 캠프, 단기 전공 연수 등을 가게 됐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정기적인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는 점을 꼽고 싶다. 또 정규 교양과목으로 한국어 과목이 개설됐다는 점이다.

직장에서 자기성장의 동력이 있다면?
- 교내에서 유일한 한국인이기에 내 모든 행동이 동료들과 학생들에게 ‘한국인은 저렇구나’ 하고 전반적인 이미지로 굳어질 수 있다. 거기서 오는 책임감이 나를 더 성장하게 만든다. 고마운 일이다.

그럼 인생의 좌우명은 무엇인가?
- "세상에 태어난 이유는 내가 가진 사랑을 나누고 베풀면서 살기 위함"이다. Be the best version of me, Be one of a kind!

스트레스도 상당할 거 같은데 푸는 방법이 있는지?
- 일에서 오는 스트레스는 없다. 일은 너무 재미있고 좋은데 아기가 있다 보니 양육/집안일과 일의 균형을 잡는 데서 오는 딜레마는 있다. 이를 푸는 방법은 남편이랑 대화하거나 (그러다가 싸운다.) 아주 가끔 강변에서 달리거나 울거나 (많이 운다.) 좋아하는 음료수를 사마시거나 자기계발 비디오를 보거나 그 정도다. 좋은 방법 있으면 추천 좀 해달라.

대만에서 잊지 못할 일이 있다면?
- 2011년 남편이랑 연애할 때 남편이 대만으로 초대해줬다. 대만은 생전 처음이었고, 연애 때였으니 모든 게 다 아름다운 추억이다. 자기 집에서 요리해 주겠다고 해서 갔는데 어머니가 쇼파에 누워 텔레비전을 보고 계셔서 깜짝 놀라 도망쳤던 기억이 있다.

또 있다. 몇 년 전, 남편 친구들과 화리엔으로 오토바이 여행을 갔는데, 참 인상 깊었다.
그리고, 출산? 정말 잊기 어렵다!

성취감을 언제 느끼는지?
- 우리 학생들이 한국에 가서, 새로운 교육 환경이나 문화에 노출이 되고, 성장하는 모습들을 볼 때 참 기쁘다. 남학생 하나는 한국 교환학생에 다녀온 뒤 스타일이 완전히 달라졌다. 이제 나보다 화장을 더 많이 하고 다닌다.

그리고 내가 기획하고 상상하던 프로젝트들이 실제로 진행됐을 때나, 몇 번의 논의 끝에 교류 가능성을 이끌어낼 때 등 모든 부분에서 크고 작은 성취감을 느낀다.

대만에 대한 인상은? 오기 전과 온 후 비교하자면? 
- 사실 남편과 연애를 하는 와중에도 대만에 대해 ‘완전히’ 무지했다. 그 전에는 대만에 대해 관심이 없었다고 보면 된다. 남편과 미국에서 만났기 때문에 거기서 살겠거니 했는데 남편이 대만으로 가자고 했을 때, 아무 생각 없이 '오케이'했고, 그렇게 오게 됐다.
대만에 살고 있기에 사회 문제나 정치 문제에 관심이 더 많아진 것이 큰 차이점이다. 중요한 것은 한국에 갈 때마다 열심히 대만을 홍보하고 다니는 점이 가장 달라졌다. "대만 남자 최고! 대만 사람 최고! 대만 음료수 최고! 오세요~오세요~" 뭐 이 정도?

중국어가 좀 걸린다고 말했다. 언어 소통 한계를 극복하는 본인만의 방법이 있다면?
- 속상하고 기분이 안 좋아도 학교에서는 '스마일~', 마주치는 모든 사람들에게 발랄하게 인사 잘하기, 감사함을 적극 표현하는 것이다. 아기 돌 때 등 가끔 한국 떡이나 음료수를 돌린다. 한국 문화도 알릴 수 있으니 좋은 방법 아닌가.

고급 수준의 중국어는 잘 못 알아듣는 경우가 많아 동료들이 설명을 여러 번 해줄 때가 있다. 특히 행정업무인 문서 작성은 버겁다. 그래도 미소로 적극적으로 듣고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고개를 끄덕이고, 메모하고, 이해가 안되면 다시 확인하고 보다 적극적인 '바디랭귀지'로 소통한다. 뭔가 안 통할 때 역시 바디 랭귀지가 최고다. 그런 모습을 재미있게 생각해 준다.

동료나 학생 이름을 외우기가 어렵다. 비슷한 발음의 이름이 상당히 많다. 예를 들어 위팅, 위에팅, 웨이팅 등. 그래서 처음 만난 사람들의 이름을 휴대폰에 저장해놓고 늘 기억하려고 노력한다. 다시 만날 때 이름을 부르면 상대방은 나를 더 친근하게 대하기 때문이다.

강의중인 장수임 교수[성오과기대학교 제공=대만은 지금]


▲ 향후 목표/계획
- 한국과의 지속적인 교류를 구축하는 것이다. 학생들이 원하고 필요로 하는, 한국과의 다양한, 신선한 교류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교 시스템을 잘 만들어가는 것이 가장 큰 목표다.

그밖에 늘 내가 관심을 갖고 있는 '아이들'을 위해 꼭 기여하고 싶다. 나는 늘 아동학대, 아동유기, 인권, 교육분야에 관심이 많았다. 앞으로 대만에서 이 분야에 기여하고 싶다. 그래야 죽을 때 후회가 없을 것 같다.   


"‘소외된 사람들, 약자’에 늘 마음이 갔지만 역설적으로 늘 나 자신은 ‘강자’가 되고 싶었다. 어릴 때 이소룡이 나오는 영화들에 빠져 부모님에게 중국 소림사를 보내 달라고 했지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늘 치열한 삶을 사는 사람들을 동경했고, 지금도 그런 사람들의 인생을 다룬 영상들을 즐겨 본다. ‘강자’가 되어 ‘소외된 사람들’에게 가진 것을 나누는 그런 삶을 꿈꾼다." - 장수임 교수 

[대만은 지금] 후원하기

최근 인기 뉴스

대만서 가장 흔한 성과 이름은?

가장 흔한 성은 '천',  가장 흔한 이름은 '지아하오', "수펀' 시대별 인기 있는 이름 있어... [대만은 지금 = 박지현(朴智賢) 기자] 대만에서 가장 흔한 성은 '천'(陳, 진) 씨고, 지아하오(家豪, 가호)와 수펀(淑芬, 숙분)을 이름으로 가장 많이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이름은 한국에서 '철수'와 '영희'쯤 되는 범국민적 이름으로 대만에서는 시장에 널린 만큼 흔해 빠졌다는 의미로 소위 ‘시장 이름(菜市場名)’이라고 불린다.

2023년 대만에서 가장 흔한 '이름'은?

  [대만은 지금 = 류정엽(柳大叔)] 최근 취업사이트 1111이 올해 대만에서 가장 흔한 이름 남녀 TOP8을 조사해 발표했다. 이름들을 살펴 보면 작명 배경에는 부모들의 '사랑'이 담겨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아이들에게서 가장 흔히 보이는 이름은 천천(辰辰), 유유(祐祐)로 꼽혔다. 평범하면서도 좋은 의미를 지녔다는 게 그 이유다.  올해 가장 흔한 남자 이름으로는 젠훙(建宏), 옌팅(彥廷), 청언(承恩), 관위(冠宇) 등으로 나타났다. 가장 흔한 여자 이름은 이전(宜蓁), 신위(欣妤), 스한(詩涵), 융칭(詠晴) 순으로 나타났다. 매우 우아하고 고상하게 들린다.  가장 흔한 남자 이름은 다음과 같다.  1위 젠훙 建宏  2위 옌팅 彥廷 3위 청언 承恩 4위 관위 冠宇 5위 유팅 宥廷 6위 핀위 品睿 7위 바이한 柏翰 8위 바이위 柏宇 대만에서 가장 흔한 여자 이름은 다음과 같다.  1위 이전 宜蓁 2위 신위 欣妤 3위 스한 詩涵 4위 융칭 詠晴 5위 즈칭 子晴 6위 핀옌 品妍 7위 위퉁 羽彤 8위 이쥔 怡君 최근 대만 부모들 사이에서 아이의 이름을 지을 때 튀지 않는 이름이 좋은 이름이라는 인식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대만인들은 "뜻도 좋아 이렇게 이름을 정하는 사람들이 많다", "흔할수록 좋다", "검색하기 쉽지 않다"는 등의 의견을 보이기도 했다. 

[대만 꿀팁] 대만 주소의 영문주소 표기 방법

  [대만은 지금 = 안재원]  대만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가끔 부딪히는 문제 중 하나가 바로 주소다. 사실, 중국어로 주소를 적는 것은 문제가 아니다. 한국과 대만의 주소 체계는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큰 어려움은 없다. 하지만 가끔 국제 택배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영문주소로 변환하는 것이 문제이다. 이 문제는 대만의 행정구역 단위만 대략 알고 있으면 쉽게 해결이 가능하다. 대만 주소는 일반적으로 시/현, 구, 그리고 길 이름과 번지수로 구분되어 있다. 길은 규모에 따라서 路(로)와 街(가)가 있으며 도로가 길 경우 段(단)과 弄(농)으로 구분이 된다. 그리고 마지막에 번지수가 온다. 즉 한국처럼 큰 단위부터 써내려 간다. 이에 반해 영어주소는 작은 단위부터 써내려가기 때문에 조금 헷갈릴 수 있다. 이 순서를 대략적으로 인지하고 아래 표를 본 다음 간단한 예시를 통해 복습을 해보자.   가끔 대만 주소를 보면 길 이름에 동서남북이 들어간다. 이 같은 경우도 어려울 게 없다. 그대로 영문으로 길 이름을 쓰고 東(E)、西(W)、南(S)、北(N)에 맞는 알파벳을 넣어주면 된다. 예를 들어 南京東路(남경동로)를 영문으로 변환하면 Nanjing E. Rd. 이렇게 된다. 완벽한 이해를 위해 사범대(師範大學) 주소를 가지고 예시를 들어보겠다. 사범대 주소는 台北市大安區和平東路一段162號로 표기된다. 구역을 각각 나누어 보면 아래와 같다. 台北市 – Taipei City 大安區 – Da’an Dist. 和平東路 – Heping E Rd. 一段 – Sec.1 162號 – No.162 우선 이렇게 주소를 변환한 후 영문 주소 순서에 맞게 배열하면 아래와 같은 주소가 된다. No.162, Sec.1, Heping E. Rd., Da’an Dist., Taipei City 물론 우체국 사이트에서 주소를 입력하고 변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제일 편하고 빠른 방법이기는만 이런 소소한 지식들을 알아가는 것도 해외생활의 작은 묘미라 생각한다. 

[대만특집] 대만에는 성탄절이 없다?

12월 25일은 성탄절이다. 한국에서는 당연히 공휴일이다. 시내 한복판 길거리에서는 자선냄비와 캐롤을 쉽게 들을 수 있다. 하지만 대만에서는 쇼핑몰이나 백화점 주변을 제외하고는 크리스마스 풍경을 쉽게 찾아볼 수 없다. 아니 한국만큼 분위기가 나지 않는다. 반챠오 / ELLE 대만에서는 12월 25일은 휴일이 아니다. 눈를 씻고 봐도 대만 달력에는 성탄절이 없다. 12월 25일은 행헌기념일(行憲紀念日)이라고 써있을 뿐이다. 1963년부터 2000년까지 줄곧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어 쉬다가 2001년부터 휴일에 포함되지 않기 시작했다. 행헌기념일은 헌법을 시행한 기념일을 뜻한다. 중화민국의 헌법은 1947년 12월 25일에 시행되었다. 12월 25일의 법을 시행하기 시작한 것과 크리스마스는 우연의 일치일까? 중화민국 헌법 / 자료사진 1947년 당시 장제스(蔣介石)는 헌법 시행을 선포하는 라디오 연설에서 예수의 부활처럼 신중국 건설의 첫걸음을 향하기 위해 헌법을 시행하노라고 말했다.  의도적으로 성탄절에 맞춰 헌법을 시행하기 시작한 것이다. 하지만 많은 젊은이들은 모르고 있고 알 필요가 없다고 이야기한다. 국가의 헌법이 시행된 날보다 크리스마스를 더 잘 알고 있고, 25일이 한국처럼 공휴일이 되기를 원하고 있다.   +대만은지금   @  柳大叔, 愛臺灣的韓國人  (류정엽) 제보/후원/제휴 문의: nowformosa@gmail.com  Facebook  페이지: www.facebook.com/nowformosa →  바로가 기 카카오스토리 에서도  [대만은 지금]   을 만나세요! https://story.kakao.com/ch/nowformosa 다른 기사: [대만생활] 미리보는 2016년 타이베이101 불꽃놀이 [대만생활] 초대형 아울렛 'GLORIA OUTLET‘ 18일 오픈  [대만생활] 표백 숙주나물, 업자들의 공공연한 비밀? [대만사회] 버스정류장 12분 정차, 승객들 "천천히 하

대만 야구사상 최대 규모의 한류행사…부산 롯데 자이언츠 응원단도 가세

대만 타오위안 야구장 야외무대에 선 부산 롯데 자이언츠 응원단[류정엽 촬영=대만은 지금] [대만은지금 = 류정엽(柳大叔)] 대만 야구사상 최대 규모의 한류행사가 대만 북부 타오위안(桃園) 국제야구장에서 16일부터 이틀간 성황리에 개최됐다.

[대만생활] 대만 사람들이 뽑은 한국 음식 TOP 10

대만 사람들에게는 이미 한국 음식이 더 이상 낯설지가 않다. 많은 사람들이 즐겨 먹고 있으며 심지어 한국 음식을 배우려는 사람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대만에서 한국 음식점 수도 최근 2년 사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타이베이의 번화가에 가면 한 구역 건너 하나씩 볼 수 있다. 대만에서 먹는 한국 음식이 과연 한국에서 먹는 맛이 날까? 대부분의 대만 사람들의 의견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 대부분이다. 비교적 로컬화된 음식을 팔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타지에 온 유학생이나 워홀러들에게는 이것마저도 고마울 따름이다. 한국에 살다 대만으로 온 한 미국인(영어강사)은 "대만의 한국 음식은 주인이 한국 사람이어도 한국 맛보다는 대만 맛이 더 강한 편"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음식이 현지인을 상대로 현지화가 되어야 한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당연하다. 그래왔기에 오히려 한국 음식이 대만 사람들에게 더욱 사랑 받을 수 있지 않았을까? 대만 최대 설문조사 사이트 데일리뷰(dailyview) 는 약 3만 여명을 대상으로 대만 사람들이 좋아하는 한국 음식 10개에 대해 투표 방식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 했다. 조사는 2014년 10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총 6개월에 걸쳐 이루어졌다. 10위부터 살펴 보기로 하자. 10위. 짜장면 9위. 삼계탕 8위. 게장 7위. 설렁탕 6위. 닭갈비 5위. 떡볶이 4위. 족발 3위. 한국식 전류 (해물전, 김치전 등) 2위. 치킨 1위. 한국식 BBQ  대만 사람과 함께 식사할 기회가 있다면 한번 참고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대만은지금   @  柳大叔, 愛臺灣的韓國人 제보/후원/제휴 문의: nowformosa@gmail.com  Facebook Page: www.facebook.com/nowformosa

최신 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