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12월 20, 2022의 게시물 표시

이탈리아, 중국 경찰과 합동 순찰 중단 발표...중국 비밀경찰 때문?

  [대만은 지금 = 류정엽(柳大叔)] 이탈리아 내무부 장관은 19일 중국 경찰과 관리들이 자국 영토에서 이탈리아와 협력할 수 있도록 하는 합동 순찰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고 대만 언론들이 전했다.  마테오 피안테도시 이탈리아 내무부 장관은 '일 포글리오'와의 인터뷰에서 양국의 연합 순찰이 다른 어떤 형태로 시행되거나 복제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양측 합동 순찰 작전은 2016~2019년 사이 시행되었으며 코로나19 발발 후 일시 중단됐다고 했다.  12월초 피안테도시 장관은 이탈리아와 중국 간의 공동 순찰 협정은 중국이 다양한 이름으로 비밀리에 "해외 경찰서"를 설립했다는 최근 보도와 아무 관련이 없다고 밝혔다. 그는 로마, 밀라노, 나폴리 등을 여행하는 많은 중국인 관광객을 돕기 위해 실시되되었다고 했다.  스페인 비영리 인권단체 '세이프가드 디펜더스'는 중국이 세계 53개국에 설립한 102개의 해외 경찰서에 대한 증거를 입수했다고 주장했다. 그중 이탈리아에 가장 많은, 11곳이 설치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2015년 이탈리아가 중국 경찰에게 자국 영토 순찰을 허용하면서 설립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당국은 이러한 시설은 '지원자'에 의해 운영되고 있으며 전염병 기간 동안 중국인들이 문서를 갱신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했다고 반박했다.  하지만 중국이 설치한 비밀 경찰서에서는 정보를 수집하고, 중국 반체제 인사들을 압박해 본국으로 돌아가도록 하는 등의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아울러, 세이프가드 디펜더스는 한국에도 중국이 설치한 비밀 해외 경찰서가 있다고 했다. 이와 관련 20일 우리나라 연합뉴스는 한국도 범정부 차원에서 실태 파악에 나섰다고 보도했다. 

"독일 5G, 중국 화웨이 의존도 높아져"

  [대만은 지금 = 류정엽(柳大叔)]  독일이 5G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장비에 있어 화웨이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고 대만 언론들이 보도했다. 독일 통신 컨설팅 회사 스트랜드 컨설트의 조사에 따르면 화웨이는 독일 5G RAN의 59%를 차지하며 이는 4G 네트워크 때 뵤다 2%나 높아졌다.  중국 기업들이 세계 여러 나라 인프라에 참여하는 것을 두고 유려가 나오고 있는 상황 속에서 관심이 쏠린다. ㅣ 유럽 전역에 차세대 모바일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있어 중국의 화웨이와 ZTE의 역할을 무시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 지역 최대 경제국인 독일이 중요한 무역 파트너인 중국에 계속 의존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주차위반 고지서에 화난 청년, 경찰에 "우리 아빠가 부시장이야"

  영상 캡처 [대만은 지금 = 류정엽(柳大叔)]  대만 중부 타이중시에서 한 청년이 지난 15일 오후 주차위반 고지서를 들고 인근 파출소에 찾아가 아버지 신분을 들먹이며 화를 낸 일이 대만에서 논란이 됐다.  18일 대만 타이스, TVBS 등에 따르면, 주차위반 과태료 고지서에 불만을 품은 청년은 파출소로 달려가 다짜고짜 아버지가 전 타이중 부시장이라고 밝히며 원성을 높였다.  경찰 측은 관련 영상을 공개했다. 영상 속에는 주황색 자켓을 입은 한 남성이 한 여성과 파출소로 들어와 자신에게 주차위반 벌금 고지서를 끊은 경찰을 만나야겠다고 다짜고짜 소리를 질렀다. 당시 그가 찾던 경찰은 해당 파출소에 없었다.  청년은 이어 자신의 신분증을 꺼내들며 "내 신분증을 봐라. 우리 아버지가 샤오자치 타이중시 부시장이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매우 화가난 상태로 10여분 간을 파출소에서 소란을 피웠다.  해당 파출소장은 "주차위반 차량의 소유자는 왕모 여성이며 게다가 해당 남자의 배경과 주차위반과는 전혀 무관하다"고 밝혔다. 그는 친구인 차량 소유자 여성을 위해 한 행동으로 드러났다.  해당 남자가 제시한 신분증의 이름이 샤오 전 부시장의 차남의 이름과 일치한다고 언론들은 전했다. 한 매체가 샤오자치에게 이를 확인한 결과 맞다는 답변을 받았으나 추후 논란이 불거지자 확실하지 않다고 말을 바꾼 것으로 전해졌다.  신문은 당사자가 직접 해명해야 한다며 과태료를 부과 받은 사람이 누구든 이로 인해 경찰서에 가서 고함을 지르는 행위는 부적절하다고 밝혔다. 

[대만은 지금] 후원하기

최신 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