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9월 22, 2023의 게시물 표시

대만매체, 아시아공급망 상위 250개 업체...상위 20위권에 삼성전자, 현기차, LG전자 올라

  대만 유력 ICT전문 매체 디지타임즈가 지난 20일 아시아 공급망(ASC) 상위 250개 업체를 발표해 관심이 쏠린다.  매체는 중국 본토(홍콩 포함), 일본, 한국, 대만, 인도, 동남아시아 및 기타 국가/지역의 ICT산업 공급망과 관계가 있는 약 오천 개 기업의 재무 성과 데이터(매출액)를 분석해 순위를 매겼다.  디지타임즈는 지난 2021년 100대 아시아공급망을 발표한 바 있으며 올해에는 아시아 공급망의 추세를 보다 거시적으로 파악하고자 250개 기업으로 늘린 것으로 알려졌다. 상위 20위에 이름을 올린 한국 기업은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LG전자로⋅ 각각 2위, 6위, 12위, 14위로 나타났다.  1위는 일본 토요타자동차, 3위는 대만 폭스콘(훙하이)이 차지했다.  황이핑 디지타임즈 부회장에 따르면, 250대 아시아 공급망 목록에 오른 기업은 주로 중국 본토, 일본, 대만, 한국으로 이들 4개국에서 총 238개 기업이 올랐다. 그중 중국 본토 기업은 107개 기업으로 크게 늘어났으며, 2022년 총 수익은 전년보다 9.2% 증가한 1조 4200억 달러에 달하면서 규모와 성장률 측면에서 일본을 크게 앞질렀다. 일본은 중국 본토에 이어 74개 기업이 순위에 올랐지만, 2022년 총 매출은 1년 전보다 3.9% 감소해 동아시아 4개국 중 유일하게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반도체 부품 부족, 가전제품 수요 둔화, 전기차 패러다임 전환으로 인한 일본 자동차 제조사의 운영 어려움이 주원인으로 분석됐다. 2022년 연평균 2.3% 성장한 대만은 한국(2.6%)보다 다소 낮은 성장을 보였다. 대만의 매출 성장은 주로 TSMC,UMC 등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가 주도했다. 한국의 경우 주로 현대·기아차의 전기차 시장 성과로 이익을 얻었고, 이는 배터리 공급업체의 발전으로도 이어졌다. 황 부회장은 휴대전화, PC 등의 시장이 성숙해졌고 AI 사업 기회가 발효되려면 여전히 수년이 필요하다며 기술 공급망의 상대적 성장 모멘텀은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그

美 국방부 관리 "中의 대만 봉쇄는 monster risk"

엘리 라트너 미 국방부 아태 담당 차관보 미국 국방부 고위 인사들이 최근 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을 낮게 보면서도 중국위 대만 봉쇄는 굉장한 위험이라고 했다.  대만 언론들에 따르면 지난 19일 (현지시간) 미국 국방부 당국자 입에서 중국의 대만 봉쇄에 monster risk라는 표현까지 등장했다.  엘리 라트너 미 국방부 인도 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미 하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서 "중국 지도자들은 군사력 사용을 포기하지 않고 대만해협 인근에서 더 위험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고 했다. 차관보는 이어 "노골적인 침략, 봉쇄 또는 기타 수단의 형태로  무력 공격은 금세기에 상상할 수 없는 인류의 생명과 세계 번영을 위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그러면서 "이러한 위험은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이 인도·태평양 지역의 생활, 전 세계의 글로벌 번영, 미국 국민의 경제 및 국가 안보 이익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며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 억지력을 유지하는 것은 단지 미국의 이익이나 대만 국민의 이익이 아니라 분명히 국제적인 관심사"라고 강조했다. 차관보는 "(대만 침공은) 성공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고, 대만 봉쇄는 국제사회의 광범위하고 심층적인 대응을 유도할 것"이라며 "중국은 이를 피하려고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셉 맥기 합동참모부 부사령관도 "(대만 봉쇄가) 선택 사항이긴 하지만 군사적 옵션은 아닐 것"이라며 "실제로 봉쇄하는 것보다 봉쇄에 대해 떠들기는 더 쉽다"고 지적했다. 한편 라트너 차관보는 지난 7월 12일 펜타곤에서 셰펑 주미 중국 대사와 90분간 안보 현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만은 지금] 후원하기

최신 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