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유난히 독서가 하고 싶은데 할 수 있을까 독서의 의미와 동기부여를 생각하다 [대만은 지금 = 류정엽(柳大叔)] 2021년 신년이 왔다. 독서가 하고 싶다. 독서를 해야겠다는 마음은 굴뚝같은데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독서는 마음만으로 실천하고 있는 행동이 되어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새삼스레 반성을 하게 됐다. 솔직히 말해 최근 1년 반 동안 책을 정말 등한시하고 살았다. 내심 ‘읽어야지’하면서 책장에 꽂힌 책들의 표지의 제목만 읽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최근 독서를 할 만한 동기가 부족했다. 대만에 있다 보니 한국어로 된 책을 읽기는 하늘의 별따기다. 한국어로 된 책을 보기 위해서는 타이베이 시립도서관 같은 곳이 가야 한다. 그러나 내가 읽고 싶은 책이 있다는 보장도 없다. 한국어로 된 책들을 배편으로 한아름 받았으면 하는 상상도 종종 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독서는 중국어로 된 책을 보게 된다. 대만은 간체자를 사용하는 중국과는 달리 번자체를 사용하고 있다. 중국어로 책을 읽는 속도는 모국어만큼 따라가지 못해 상당히 더디다. 한계가 있다. 독서에 대해 나름 사색해 보았다. 독서가 뭘까? 단순히 책을 읽는 것일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는 독서를 “심신을 수양하고 교양을 넓히기 위하여 책을 읽는 행위”라고 정의했다. 책을 읽는 목적이 심신수양 및 교양의 확장이 돼야 독서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독서의 한자인 讀書는 중국어로 ‘두슈’라고 말하는데 이는 ‘(책으로) 공부하다’라는 의미가 있다. 과거 통일신라시대에도 이 단어가 사용됐다. 바로 한반도 최초의 관리 선발제도인 ‘독서삼품과’다. 독서삼품과의 독서는 현재 중국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의미와 동일하다고 생각된다. 국학 졸업생이나 재학생을 대상으로 치러진 이 국가고시의 요건은 학문이었기 때문이다. 문득 광화문 근처 교보문고 앞 돌덩어리에 새겨진 글귀가 떠오른다. “책은 사람을 만들고, 사람은 책을 만든다”라는 문장에서 책은 사람을 만든다는 부분을 사람을 주어로 다시...
'대만은 지금'은 대만(타이완, 중화민국) 에서 대만 최신 뉴스와 정보를 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