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중국이 625전쟁(한국전쟁)을 대대적으로 기념하기 시작했다

 

[인터넷 캡처]

[대만은 지금 = 류정엽(柳大叔)]

중국이 625전쟁(한국전쟁)을 대대적으로 기념하기 시작한 모양새다. 


2일 대만 왕보와 연합보 등은 중국이 한국전쟁(625전쟁) 참전 열사들을 대대적으로 기리고 한국전쟁을 기념하는 등 미국에 항거한 기억을 되새기고 있다고 보도했다. 

최근 미국이 중국을 다각도로 압박해오자 중국이 내부적으로 한국전쟁을 이용해 반미의 분위기를 부추겨 애국심을 고취시키려는 취지로 풀이된다. 

중국은 10월 25일 한국전쟁에 참가한 중공군(지원군) 70주년 기념일 행사를 성대하게 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전쟁에 참가한 중공군을 지원군(志願軍)이라고 한다. 지원군은 북한 김일성 측을 지원했다. 

중국측 통계에 따르면, 한국전쟁에 참가해 희생된 중공군은 18만 명 이상이다. 

지난달 19일 북한과 중국 접경 지역인 랴오닝성 단둥에 있는 항미원조(抗美援朝)기념관을 재개관했다. 항미원조는 중국의 표현으로 미국에 대항하고 북한을 돕는다는 의미를 지닌다. 

지난달 27일 한국 정부로부터 한국전쟁 참전 군인의 유해 117구를 반환 받았다. 

이날 행사는 대대적으로 생중계됐다. 신문은 이는 7번째로 한국이 인도하는 유해로 가장 큰 규모라고 전했다. 

쑨춘란(孫春蘭) 부총리는 당시 기념행사에서 애국주의·영웅주의·고난극복 등을 뜻하는 ‘항미원조 정신’을 강조하기도 했다. 

항미원조 정신의 핵심은 외부 위협에 직면했을 때 나라를 지키려고 한 중국인들의 용기와 결의다.

중국은 이번 유골 송환에 있어 최초로 윈(Y)-20 수송기를 사용했다. 여기에 젠-11B 전투기 2대가 수송기를 수호했다. 

또한 공항에서는 소방차들이 특수 비행기를 맞이하는 최상급의 의식인 수문의례를 거행했다.  

2014년부터 한국은 중국에 한국전쟁 참전 중국군 유골 700구를 반환한 것으로 신문은 전했다. 

중국은 한국전쟁을 다룬 애국주의 영화와 드라마 등을 제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창(吳強) 전 베이징 칭화대학교 정치학과 교수는 이런 화려한 행사에 대해 반(反)전쟁이 아닌 반미(反美)를 위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우창 교수는 “반미는 기본적으로 한국전쟁의 공식 선전의 주된 주제"라면서 "미국에 대한 저항을 주제로한 선전이 반미의 기억을 일깨우고 있다"고 했다. 

그는 그러면서 "반미를 강조하는 것은 중국이 한국전쟁에 대한 기본적인 반성을 하고 있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미국에 저항하고 북한을 돕는다"는 것은 중국 당국이 국민들을 정치적으로 선동하는 도구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중국의 이러한 움직임은 애국과 희생 정신을 강조하고 영웅주의를 부각시켜 여론을 결집하고 난관을 타개하고자 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중국이 앞세우고 있는 중국몽(中國夢) 및 중국식 사회주의 등을 내부적으로 강화하고자 하는 의도도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대만은 지금] 후원하기

최근 인기 뉴스

대만서 가장 흔한 성과 이름은?

가장 흔한 성은 '천',  가장 흔한 이름은 '지아하오', "수펀' 시대별 인기 있는 이름 있어... [대만은 지금 = 박지현(朴智賢) 기자] 대만에서 가장 흔한 성은 '천'(陳, 진) 씨고, 지아하오(家豪, 가호)와 수펀(淑芬, 숙분)을 이름으로 가장 많이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이름은 한국에서 '철수'와 '영희'쯤 되는 범국민적 이름으로 대만에서는 시장에 널린 만큼 흔해 빠졌다는 의미로 소위 ‘시장 이름(菜市場名)’이라고 불린다.

[대만 꿀팁] 대만 주소의 영문주소 표기 방법

  [대만은 지금 = 안재원]  대만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가끔 부딪히는 문제 중 하나가 바로 주소다. 사실, 중국어로 주소를 적는 것은 문제가 아니다. 한국과 대만의 주소 체계는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큰 어려움은 없다. 하지만 가끔 국제 택배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영문주소로 변환하는 것이 문제이다. 이 문제는 대만의 행정구역 단위만 대략 알고 있으면 쉽게 해결이 가능하다. 대만 주소는 일반적으로 시/현, 구, 그리고 길 이름과 번지수로 구분되어 있다. 길은 규모에 따라서 路(로)와 街(가)가 있으며 도로가 길 경우 段(단)과 弄(농)으로 구분이 된다. 그리고 마지막에 번지수가 온다. 즉 한국처럼 큰 단위부터 써내려 간다. 이에 반해 영어주소는 작은 단위부터 써내려가기 때문에 조금 헷갈릴 수 있다. 이 순서를 대략적으로 인지하고 아래 표를 본 다음 간단한 예시를 통해 복습을 해보자.   가끔 대만 주소를 보면 길 이름에 동서남북이 들어간다. 이 같은 경우도 어려울 게 없다. 그대로 영문으로 길 이름을 쓰고 東(E)、西(W)、南(S)、北(N)에 맞는 알파벳을 넣어주면 된다. 예를 들어 南京東路(남경동로)를 영문으로 변환하면 Nanjing E. Rd. 이렇게 된다. 완벽한 이해를 위해 사범대(師範大學) 주소를 가지고 예시를 들어보겠다. 사범대 주소는 台北市大安區和平東路一段162號로 표기된다. 구역을 각각 나누어 보면 아래와 같다. 台北市 – Taipei City 大安區 – Da’an Dist. 和平東路 – Heping E Rd. 一段 – Sec.1 162號 – No.162 우선 이렇게 주소를 변환한 후 영문 주소 순서에 맞게 배열하면 아래와 같은 주소가 된다. No.162, Sec.1, Heping E. Rd., Da’an Dist., Taipei City 물론 우체국 사이트에서 주소를 입력하고 변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제일 편하고 빠른 방법이기는만 이런 소소한 지식들을 알아가는 것도 해외생활의 작은 묘미라 생각한다. 

[단독] 서울에서 발견한 대만 한국인의 흔적, 대만산 ‘대형목각호랑이’

서울올림픽 성공 기원을 담아 기증된 대만산 목각호랑이 [류정엽 촬영=대만은 지금] [대만은 지금 = 류정엽(柳大叔)] 서울올림픽이 개최된지 어느덧 30년이 훌쩍 지났다. 국내외 한국인들은 하나가 되어 올림픽의 성공을 기원했고, 이를 통해 한국이 국제 사회에서 큰 입지를 다져 국격이 높아지길 바랐다. 물론, 재대만 한인들도 예외는 아니었다.

[포토뉴스] 대만 노동절, 현장을 가다

5월 1일 노동절(勞動節)을 맞이하여 대만 전국 각지에서 타이베이로 모인  80여 개 노조, 약 1만여 명이 도심 행진을 가졌다. <사진: 류정엽(柳大叔)> 다른 기사 보기 노동절, 1만여 명 전국에서 모여 <대만은 지금> (페이스북) 좋아요 누르러 가기

2023년 대만에서 가장 흔한 '이름'은?

  [대만은 지금 = 류정엽(柳大叔)] 최근 취업사이트 1111이 올해 대만에서 가장 흔한 이름 남녀 TOP8을 조사해 발표했다. 이름들을 살펴 보면 작명 배경에는 부모들의 '사랑'이 담겨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아이들에게서 가장 흔히 보이는 이름은 천천(辰辰), 유유(祐祐)로 꼽혔다. 평범하면서도 좋은 의미를 지녔다는 게 그 이유다.  올해 가장 흔한 남자 이름으로는 젠훙(建宏), 옌팅(彥廷), 청언(承恩), 관위(冠宇) 등으로 나타났다. 가장 흔한 여자 이름은 이전(宜蓁), 신위(欣妤), 스한(詩涵), 융칭(詠晴) 순으로 나타났다. 매우 우아하고 고상하게 들린다.  가장 흔한 남자 이름은 다음과 같다.  1위 젠훙 建宏  2위 옌팅 彥廷 3위 청언 承恩 4위 관위 冠宇 5위 유팅 宥廷 6위 핀위 品睿 7위 바이한 柏翰 8위 바이위 柏宇 대만에서 가장 흔한 여자 이름은 다음과 같다.  1위 이전 宜蓁 2위 신위 欣妤 3위 스한 詩涵 4위 융칭 詠晴 5위 즈칭 子晴 6위 핀옌 品妍 7위 위퉁 羽彤 8위 이쥔 怡君 최근 대만 부모들 사이에서 아이의 이름을 지을 때 튀지 않는 이름이 좋은 이름이라는 인식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대만인들은 "뜻도 좋아 이렇게 이름을 정하는 사람들이 많다", "흔할수록 좋다", "검색하기 쉽지 않다"는 등의 의견을 보이기도 했다. 

최신 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