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영면에 든 리커창 전 중국 총리(왼쪽)가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 악수하는 모습 [신화통신 캡처] |
2일 리커창 중국 전 총리가 영면에 들었다. 그는 베이징 바바오산 장례식장에서 화장됐다. 이날 후진타오는 참석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세 번 고개를 숙이며 조의를 표했다.
리커창 부인을 위로하는 시진핑 중국 주석 [신화통신] |
퇴임 6개월 만에 급성 심장마비로 숨진 리커창 전 중국 총리의 마지막 모습 [웨이보] |
이날 중국 베이징 천안문(톈안먼) 광장에는 조기가 게양됐다.
27일 오전 중국 관영언론 CCTV가 리커창 중국 전 총리가 이날 0시 10분 상하이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고 전하자 대만 언론들은 그가 걸어온 길을 재조명하는 등 뜨거운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대만 네티즌들 사이에서도 열띤 토론이 이어지고 있다. 불과 7개월여 전에 퇴임한 리 총리의 나이는 향년 68세였다.
CCTV는 중국 공산당 17, 18, 19기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이자 전 국무원 총리였던 그가 최근 상하이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가 26일 돌연 심장마비로 쓰러졌다가 그를 구출하기 위한 모든 노력이 실패로 돌아갔다고 전했다.
해당 소식이 전해지자마자 대만 토론사이트에서는 열띤 토론이 벌어졌다. 대만 네티즌들은 대부분 "너무 갑작스럽다", "심장마비 당한 건가", "68세면 늙은 나이가 아니다", "시위니(시진핑 별명)가 처리했을 것", "개혁개방파는 반드시 죽는다"는 등의 댓글을 쏟아냈다.
대만 언론들은 그의 일대기를 되돌아보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다른 경제 사상에 주목했다. 1955년 7월 중국 안후이성 딩위안에서 태어난 리커창은 베이징대학교 법학과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1976년 5월 공산당에 입당했다. 리커창은 중국 문화대혁명의 혼란기가 끝난 뒤 처음으로 중국내에서 키워진 지식인 중 하나로 꼽히는데, 중국 공산당 창당 이후 역대 총리 중 교육 수준이 가장 높은 인물이기도 했다. 중국공산주의청년단으로 여기서 그는 중요한 리더가 된 뒤 허난성과 랴오닝성 등 두 곳에서 현지 정치 경험을 쌓았다.
장쩌민과 리커창이 악수하는 모습. 1993년 5월 3일 오후, 중국공산청년단 제13차 전국대표대회가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개막했다. 5월 3일 오전 준비회의가 끝난 뒤 첫 상임위 회의에서 리커창이 상임위원회 집행위원장으로 선출됐다. [신화통신 캡처] |
2013년 리커창은 총리직을 맡게 됐다. 중국은 당시 오랫동안 두 자릿수 성장에 이별을 고했지만 경제 전망은 여전히 낙관적이었다. 중국의 실물경제 정책을 주도하는 총리직에 오른 리커창은 자신만의 경제정책을 펼치고자 했다. 권력과 이익을 시장에 위임한다는 것을 핵심으로 어떠한 경기 부양책도 도입하지 않고 부채 축소, 구조개혁 등을 해야 한다는 소위 '리커창의 경제학'은 인기를 끌었다.
2008년 12월 1일 세계 에이즈의 날을 맞아 에이즈 예방 및 치료 시찰을 위해 베이징 디탄 병원을 방문한 후진타오와 리커창 [신화통신] |
그가 총리에 오른 후 한 연설들에서는 '행정 합리화와 권한 위임', '합리적 범위', '구조 조정', 개혁 촉진', 민생 증진'이 키워드로 등장했다. 이를 종합해 보면 최소 경제 만큼은 '권력과 이익을 시장에 위임한다'는 그의 경제 사상이 반영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의 개혁노선은 결국 실행에 난항을 겪었다. 그의 총리 취임 후 나왔던 '시진핑-리커창 체제'라는 말은 중공 제19차 전국대표대회 이후 사라졌다. 경제 정책의 주도권은 시진핑을 핵심으로 한 시진핑 세력으로 넘어갔기 때문이었다. 이로 인해 권력 분배 대신 권력 집중 현상이 나타나면서 국무원은 사실상 명령을 받는 기관이 되었다. 리커창은 개혁개방 이후 권력이 가장 약했던 중국 총리라고 평가 받는다. 그러나 그는 적어도 "중국에는 6억 명의 중저소득층 이하 인구가 있다", "월급이 1천 위안(18만7천 원)도 안 된다"는 등 진실을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