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류군의 횡설수설] 대만 사람들은 동지에 '팥죽' 대신 '탕위안'(湯圓)을 먹는다

 

탕위안 [인터넷 캡처]


[대만은 지금 = 류정엽(柳大叔)]

동지는 일 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날이다. 동지는 몇 월 며칠일까? 매년 날짜가 다르다. 2020년 동지의 날짜는 12월 21일, 2019년의 동지는 12월 22일이었다. 


동지는 1년을 24절기로 나누었을 때 스물두 번째에 해당한다. 음력 날짜로 계산하기 때문에 크리스마스처럼 양력 날로 고정되어 있지 않아 '활절'(活節)이라고도 불린다.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길기에 고대인들은 음극의 날(陰極之日)을 양기의 날로 맞이하는 날로 간주했다. 고대인들은 동지를 새해의 시작으로 간주하여 1년에 버금가는 중요한 날로 여겼다. 

'후한서'에는 동지 전후로 군자는 몸을 정결하게 하고 관리들은 일을 하지 않는다는 기록이 있다. 한대 시대 관리들은 동지를 축하하기 위해 하루 쉬었다고 전해진다. 

명나라 때는 집집마다 쌀을 빻아 탕위안을 만들고 동짓날을 알고 있었다는 말도 전해진다. 또한 당나라와 송나라의 황제들도 이날 하늘에 조상을 숭배하는 성대한 의식을 거행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우리의 경우 고려 후기까지 당나라의 달력을 사용했기에 동지가 새해로 취급된 것으로 전해진다. 1309년 고려 충선왕 때 들어와서야 현재 우리가 지내고 있는 설이 시작되었다고 한다. 

우리 나라에서도 "동지에 팥죽을 먹어야 한 살 더 먹는다"는 등의 말을 하는 것도 여기에서 유래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대만에서는 동지에 팥죽 대신 탕위안(湯圓)을 먹는다. 탕위안은 주로 원소절에 먹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탕위안은 찹쌀로 만든 쫄깃쫄깃한 둥근 떡이다. 탕위안이 둥근 것은 원만함과 화목 등을 상징한다고 전해진다. 

이는 마치 우리가 동지에 먹는 팥죽의 찹쌀단자 같기도 하고 송편 같기도 하다. 

탕위안은 물에 넣고 끓여 만든다. 이 탕위안을 끓이는 탕에는 사람들의 기호에 따라 땅콩, 팥, 설탕, 소금 등을 넣기도 한다. 그 맛은 달거나 짭짤하다. 

대만에서는 동지에 타위안을 먹는 풍습의 유래에 대해 푸젠(민남)지역에 살던 가난한 부부의 이야기가 자주 등장한다. 

이 가난한 부부에게는 어린 딸이 있었다. 

어느 날 부인이 세상을 떠나자 남편은 부인의 장례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딸을 팔기로 결심했다. 

이를 알게 된 딸은 슬픔에 휩쌓이다 못해 기절했고, 아버지는 그를 깨우기 위해 찹쌀탕 한 그릇과 탕위안 몇 개를 사 가지고 와 딸을 깨우는 데 성공했다.

그들은 이 먹을 것을 두고 서로에게 양보했고, 먹지 못했다. 이를 먹고 난 뒤 영원히 헤어질까 봐 두려웠기 때문이다. 

몇년 후 이 딸은 이 딸은 부잣집 딸에게 팔려갔고 갑자기 기발한 생각이 떠올랐다. 집 문 앞에 크고 둥근 탕위안 두 개를 문에 걸어서 아버지를 찾고자 했다. 그렇게 일년이 지나고 또 일년이 지났다.

현재까지 이 딸이 아버지를 찾았다는 이야기는 없으며 이 이후로 민난지역에서 탕위안을 먹는 풍습은 보편화되어 갔다.

그 뒤 탕위안은 이 지역 사람들의 풍속으로 굳어져 갔다. 가난한 사람들은 찹쌀로 작고 둥근 탕위안을 만들었고, 부자들은 설탕과 땅콩 가루 등을 넣어 만든 더 큰 탕위안을 만들어 먹었다. 

어른들이 손으로 탕위안을 만들면 아이들은 그 옆에서 찹쌀을 이용해 다양한 새나 동물 모양의 떡을 만들기도 했다. 또한 음양이 교차되는 동지이기에 많은 사람들은 탕위안을 먹으면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는 믿음이 있었다.

이는 남송시대의 문인 뤼유(陸游, 육유) 작품에도 "동지에 밥을 먹으면 한 살 더 먹는다"고 나온다. 








[대만은 지금] 후원하기

최근 인기 뉴스

대만서 가장 흔한 성과 이름은?

가장 흔한 성은 '천',  가장 흔한 이름은 '지아하오', "수펀' 시대별 인기 있는 이름 있어... [대만은 지금 = 박지현(朴智賢) 기자] 대만에서 가장 흔한 성은 '천'(陳, 진) 씨고, 지아하오(家豪, 가호)와 수펀(淑芬, 숙분)을 이름으로 가장 많이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이름은 한국에서 '철수'와 '영희'쯤 되는 범국민적 이름으로 대만에서는 시장에 널린 만큼 흔해 빠졌다는 의미로 소위 ‘시장 이름(菜市場名)’이라고 불린다.

[단독] 서울에서 발견한 대만 한국인의 흔적, 대만산 ‘대형목각호랑이’

서울올림픽 성공 기원을 담아 기증된 대만산 목각호랑이 [류정엽 촬영=대만은 지금] [대만은 지금 = 류정엽(柳大叔)] 서울올림픽이 개최된지 어느덧 30년이 훌쩍 지났다. 국내외 한국인들은 하나가 되어 올림픽의 성공을 기원했고, 이를 통해 한국이 국제 사회에서 큰 입지를 다져 국격이 높아지길 바랐다. 물론, 재대만 한인들도 예외는 아니었다.

2023년 대만에서 가장 흔한 '이름'은?

  [대만은 지금 = 류정엽(柳大叔)] 최근 취업사이트 1111이 올해 대만에서 가장 흔한 이름 남녀 TOP8을 조사해 발표했다. 이름들을 살펴 보면 작명 배경에는 부모들의 '사랑'이 담겨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아이들에게서 가장 흔히 보이는 이름은 천천(辰辰), 유유(祐祐)로 꼽혔다. 평범하면서도 좋은 의미를 지녔다는 게 그 이유다.  올해 가장 흔한 남자 이름으로는 젠훙(建宏), 옌팅(彥廷), 청언(承恩), 관위(冠宇) 등으로 나타났다. 가장 흔한 여자 이름은 이전(宜蓁), 신위(欣妤), 스한(詩涵), 융칭(詠晴) 순으로 나타났다. 매우 우아하고 고상하게 들린다.  가장 흔한 남자 이름은 다음과 같다.  1위 젠훙 建宏  2위 옌팅 彥廷 3위 청언 承恩 4위 관위 冠宇 5위 유팅 宥廷 6위 핀위 品睿 7위 바이한 柏翰 8위 바이위 柏宇 대만에서 가장 흔한 여자 이름은 다음과 같다.  1위 이전 宜蓁 2위 신위 欣妤 3위 스한 詩涵 4위 융칭 詠晴 5위 즈칭 子晴 6위 핀옌 品妍 7위 위퉁 羽彤 8위 이쥔 怡君 최근 대만 부모들 사이에서 아이의 이름을 지을 때 튀지 않는 이름이 좋은 이름이라는 인식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대만인들은 "뜻도 좋아 이렇게 이름을 정하는 사람들이 많다", "흔할수록 좋다", "검색하기 쉽지 않다"는 등의 의견을 보이기도 했다. 

[대만 꿀팁] 대만 주소의 영문주소 표기 방법

  [대만은 지금 = 안재원]  대만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가끔 부딪히는 문제 중 하나가 바로 주소다. 사실, 중국어로 주소를 적는 것은 문제가 아니다. 한국과 대만의 주소 체계는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큰 어려움은 없다. 하지만 가끔 국제 택배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영문주소로 변환하는 것이 문제이다. 이 문제는 대만의 행정구역 단위만 대략 알고 있으면 쉽게 해결이 가능하다. 대만 주소는 일반적으로 시/현, 구, 그리고 길 이름과 번지수로 구분되어 있다. 길은 규모에 따라서 路(로)와 街(가)가 있으며 도로가 길 경우 段(단)과 弄(농)으로 구분이 된다. 그리고 마지막에 번지수가 온다. 즉 한국처럼 큰 단위부터 써내려 간다. 이에 반해 영어주소는 작은 단위부터 써내려가기 때문에 조금 헷갈릴 수 있다. 이 순서를 대략적으로 인지하고 아래 표를 본 다음 간단한 예시를 통해 복습을 해보자.   가끔 대만 주소를 보면 길 이름에 동서남북이 들어간다. 이 같은 경우도 어려울 게 없다. 그대로 영문으로 길 이름을 쓰고 東(E)、西(W)、南(S)、北(N)에 맞는 알파벳을 넣어주면 된다. 예를 들어 南京東路(남경동로)를 영문으로 변환하면 Nanjing E. Rd. 이렇게 된다. 완벽한 이해를 위해 사범대(師範大學) 주소를 가지고 예시를 들어보겠다. 사범대 주소는 台北市大安區和平東路一段162號로 표기된다. 구역을 각각 나누어 보면 아래와 같다. 台北市 – Taipei City 大安區 – Da’an Dist. 和平東路 – Heping E Rd. 一段 – Sec.1 162號 – No.162 우선 이렇게 주소를 변환한 후 영문 주소 순서에 맞게 배열하면 아래와 같은 주소가 된다. No.162, Sec.1, Heping E. Rd., Da’an Dist., Taipei City 물론 우체국 사이트에서 주소를 입력하고 변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제일 편하고 빠른 방법이기는만 이런 소소한 지식들을 알아가는 것도 해외생활의 작은 묘미라 생각한다. 

[포토뉴스] 대만 노동절, 현장을 가다

5월 1일 노동절(勞動節)을 맞이하여 대만 전국 각지에서 타이베이로 모인  80여 개 노조, 약 1만여 명이 도심 행진을 가졌다. <사진: 류정엽(柳大叔)> 다른 기사 보기 노동절, 1만여 명 전국에서 모여 <대만은 지금> (페이스북) 좋아요 누르러 가기

최신 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