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기고] 한국어 교육, 이 다음에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열강 중인 이정민 국립대만사범대 초빙교수

[국립대만사범대학교 이정민 초빙교수 ]


오늘날, 열정적이고 모험심 가득한 선구자들의 노력 덕분에 대만 내에서 한국어학 교육은 일정 정도 자리를 잡았다고 생각된다. 물론 일선 현장에서 부족한 점이 없진 않겠지만, 약간의 결락이 향상심의 원천임을 생각하자면 지금의 상황도 그다지 나쁘게 보이지만은 않는다. 게다가 고개를 조금 돌려서 중남미나 동유럽, 아프리카의 한국어 학습자와 교강사의 난관을 비교해 보자면 푸념조차 미안할 정도다. 요컨대, 대만의 한국어 교육 여건은 나름대로 괜찮은 편이지 않은가.


한국어의 인기가 상당하다는 것이 여러 가지 통계로도 드러나는 대만에서, 대만에 대해 아무 것도 모르면서,  우연한 기회에 교편을 잡게 된 필자에게 한국학 교육은 말 그대로 ‘멍석을 미리 깔아 놓은 것’이었다. 적지 않은 학생들이 언어 이상의 것을 요구했다. 이를테면 한국 대학에서 하던 그대로 ‘한국어로’ 강의를 해 달라는 것이다. 학생들은 한국어 학습 이상으로 한국 젊은이들의 삶을 체험하길 원했던 것이다. 한국학 교사가 된 필자에게 던져진 숙제는 이 멍석에서 얼마나 신나게 구르는가였다. 환경도, 시공간 개념도, 신호등 모양도 다른 대만에서 한국 젊은이들의 삶을 어떻게 대만 젊은이들에게 재현할 수 있을까? 고백하자면 그것은 애초에 불가능한 일이었다. 따라서 최대한 그와 유사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유도했고, 나름의 불만과 나름의 호응을 얻으며 오늘에 이를 수 있었다. 이리저리 구름으로써 적어도 어느 정도의 니즈는 충족시켜 줄 수 있었다고 생각하지만 불안감은 상존했다. 과연 이러한 분위기가 계속 갈 수 있을까? 과연 ‘교육 소비자’인 학생들이 이러한 ‘결락’을 어디까지 눈감아줄 것인가? 또, 혹시 어떤 돌발적인 요인에 의해 한국과 K-POP에 관심이 식어버린다면 과연 학생들은 한국어 강의를 요구할 것인가? 아니, 그전에 수강신청이나 할 것인가?


필자에게 대만의 한국어-한국학 교육에서 아쉬운 점에 대해 묻는다면, 한국어-한국학 교육이 단순한 취미활동 이상의 의미를 갖지 못하고 있음을 이야기하고 싶다. 필자의 직간접적 경험에서, 대부분의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어를 배우는 의미란 흥미 혹은 취미를 넘지 않는다. 한국 드라마나 K-POP이 한국어를 배우게 되는 훌륭한 동기임은 분명하다. 실제로 이를 통해 한국어 고급과정까지 마친 친구들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얼마나 대단한 일인지 비유해서 말해 보자면, 스무 살을 갓 넘은 청년이 프랑스 영화 <라 붐>을 보고 프랑스어를 배워 결국 대학 입학 수준의 프랑스어 능력을 쟁취하는 것과 마찬가지다(너무 옛날 이야기처럼 느껴진다면, <종이의 집>을 보고 스페인어를 마스터하는 것으로 바꾸자). 이러한 현상을 두고 국내 미디어에서는 ‘(한류) 문화의 힘’을 강조한다. 이러한 관점에 필자 또한 어느 정도 동의하는 바이고, 실로 문화는 체제와 가치관을 넘어서서 위력을 발휘한다. 하지만 그것이 자신의 일상, 게다가 이른바 “먹고 사는 문제”와 연루되면, 문화는 후순위 고려사항이 되는 것이 사실이다. 감이 잘 안 온다면, 약간 극단적일 수 있겠지만 이렇게 바꾸어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대만에서 한국어는 제2외국어로서 일본어에 비하면 거의 경쟁력이 없다.” 지금으로서는 그것이 현실이다.


국립대만사범대학교 이정민 초빙교수


문제는 바로 여기에서 출발한다. 한류로 인해 한국어 학습에 대한 열망이 촉발되었음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 후에는? 한국어를 배워서 무엇을 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에 답하기는 매우 어렵다. 한국 관련 회사에 취업을 하면 되지 않느냐고 물어볼 수도 있겠지만, 적지 않은 졸업자들은 실무에서 영어를 쓰는 편이 더 낫다고 증언한다. 국제협력이나 교류 분야에서 힘을 쏟으면 되지 않는가라고 질문을 던져볼 수도 있겠다. 하지만 여기에서도 한국어는 영어-프랑스어-스페인어에 비해 실용성이 떨어지고 한국어를 할 기회도 많지 않다. 말하자면 한국어는 거의 모든 분야에서 영어의 ‘하위호환’인 셈이다. 그렇다면 이 난관을 어떻게 타개해야 할까.


답이 보이지 않고 어려운 일만 가득할 것 같지만, 헤겔 식으로 말하자면 문제를 발견했다는 것이야말로 문제 해결의 첫걸음일 수 있다. 이 난관을 여러 가지로 공략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보면 대만에서 한국어와 한국학 교육은 이미 많은 자산을 가지고 있다. 열정 있는 학생들, 경험 많은 강사들, 그리고 인프라와 한국 문화에 대한 사람들의 호감도 같은 것들이 그것이다. 어쩌면 이러한 이들과 함께 자생적인 한류의 지류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원류를 따라 흐르지만 결국에는 원류에 영향을 끼치며 독자의 길을 흘러가는 그런 지류. 그리고 그것이 흐르고 흘러 나름의 큰 강을 형성할 수 있지 않을까? 마치 1980년대 최후반 L.A.메탈 스타일의 록밴드에서 베이스를 치게 된 정현철, 그러니까 ‘서태지’처럼.


물론 이 단계에서는 전문성도 필요하고, 무엇보다 상황을 평가하는 식견이 중요할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한류의 백과사전을 되돌려 보자면, 한류라는 말이 처음 나오게 된 90년대 말에는 말그대로 좌충우돌과 주먹구구가 횡행하던 시절이었음을 쉬이 알 수 있다. <응답하라 1998>에서 간접적으로 알 수 있듯이, 열망이 폭발하던 시절에는 그 열망이 모든 제약을 건너뛰게 해 주는 황금열쇠였다. 계기를 만들어 학생들의 열망을 폭발시키고 거기에 뛰어드는 건 어떨까? 감히 논하건대, 이미 환경은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멍석에 신나게 구를 용기가 있는가 없는가의 문제가 남아 있을 뿐이다.


[대만은 지금] 후원하기

최근 인기 뉴스

대만서 가장 흔한 성과 이름은?

가장 흔한 성은 '천',  가장 흔한 이름은 '지아하오', "수펀' 시대별 인기 있는 이름 있어... [대만은 지금 = 박지현(朴智賢) 기자] 대만에서 가장 흔한 성은 '천'(陳, 진) 씨고, 지아하오(家豪, 가호)와 수펀(淑芬, 숙분)을 이름으로 가장 많이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이름은 한국에서 '철수'와 '영희'쯤 되는 범국민적 이름으로 대만에서는 시장에 널린 만큼 흔해 빠졌다는 의미로 소위 ‘시장 이름(菜市場名)’이라고 불린다.

[대만 꿀팁] 대만 주소의 영문주소 표기 방법

  [대만은 지금 = 안재원]  대만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가끔 부딪히는 문제 중 하나가 바로 주소다. 사실, 중국어로 주소를 적는 것은 문제가 아니다. 한국과 대만의 주소 체계는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큰 어려움은 없다. 하지만 가끔 국제 택배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영문주소로 변환하는 것이 문제이다. 이 문제는 대만의 행정구역 단위만 대략 알고 있으면 쉽게 해결이 가능하다. 대만 주소는 일반적으로 시/현, 구, 그리고 길 이름과 번지수로 구분되어 있다. 길은 규모에 따라서 路(로)와 街(가)가 있으며 도로가 길 경우 段(단)과 弄(농)으로 구분이 된다. 그리고 마지막에 번지수가 온다. 즉 한국처럼 큰 단위부터 써내려 간다. 이에 반해 영어주소는 작은 단위부터 써내려가기 때문에 조금 헷갈릴 수 있다. 이 순서를 대략적으로 인지하고 아래 표를 본 다음 간단한 예시를 통해 복습을 해보자.   가끔 대만 주소를 보면 길 이름에 동서남북이 들어간다. 이 같은 경우도 어려울 게 없다. 그대로 영문으로 길 이름을 쓰고 東(E)、西(W)、南(S)、北(N)에 맞는 알파벳을 넣어주면 된다. 예를 들어 南京東路(남경동로)를 영문으로 변환하면 Nanjing E. Rd. 이렇게 된다. 완벽한 이해를 위해 사범대(師範大學) 주소를 가지고 예시를 들어보겠다. 사범대 주소는 台北市大安區和平東路一段162號로 표기된다. 구역을 각각 나누어 보면 아래와 같다. 台北市 – Taipei City 大安區 – Da’an Dist. 和平東路 – Heping E Rd. 一段 – Sec.1 162號 – No.162 우선 이렇게 주소를 변환한 후 영문 주소 순서에 맞게 배열하면 아래와 같은 주소가 된다. No.162, Sec.1, Heping E. Rd., Da’an Dist., Taipei City 물론 우체국 사이트에서 주소를 입력하고 변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제일 편하고 빠른 방법이기는만 이런 소소한 지식들을 알아가는 것도 해외생활의 작은 묘미라 생각한다. 

작은 눈이 매력적인 남자 연예인 TOP 10!

대만사람들이 꼽은 눈이 작고 매력적인 남자 연예인 10명이다. 대만에서 활동하는 연예인을 기준으로 선정되었다. 그들을 보고 있노라면 한국 남자 연예인들도 외모론 빠지지 않겠다라는 생각을 해본다. 10. 화이츄 懷秋 (張懷秋 Harry Chang) - 1659표 대만 그룹 다줴빠(大嘴巴)의 멤버로 미국 출신 대만계 가수다. 1/4은 한국 혈통이 있는 연예인~ 개성있는 음악과 노래로 많은 사랑을 받아왔으며, 연기도 수준급이다. 곧 데뷔 10년차를 맞는 연예인! 張懷秋 Harry Chang 페이스북 9. 샤오위 小宇 - 1922표  대만 남자 가수로 1983년생이다. 프로듀서로도 활동하며 대만의 A급 가수들(차이린, 아메이 등)과 곡작업을 했다. 2003년부터 현재까지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공익활동 등에서도 모습을 자주 드러내고 있다. 小宇 페이스북 8. 쟈오요우팅 趙又廷 - 2698표  눈만 봐도 빨려 들 것 같은 연기자. 1984년생으로 아쉽게도 품절남이다. 2009년부터 활동하기 시작해 현재까지 드라마 등을 통해 꾸준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2014년 결혼 당시 많은 대만 여성들이 쟈오요우팅의 부인을 부러워 했단다. 매일 아침마다 그의 매력적인 눈을 볼 수 있으니까?! 趙又廷 페이스북 7. 우젠하오 吳建豪 Vanness Wu - 2796표 F4를 기억하는가? F4 멤버로 활동했던 바네스 우~. 그의 본명은 우젠하오. 2006년 H.O.T의 멤버이자 현 SM에 임원으로 있는 강타와 함께 곡 작업(곡명: 스캔들)을 하기도 했었다. 2012년에는 2PM의 준호와 함께 불패(不敗)라는 곡을 함께 부르기도 했었다. 2013년 결혼 후 활동이 뜸해졌다. SNS를 통해 팬들과 소통할 뿐이다. 우젠하오 吳建豪 / LTN 6. 요우셩 宥勝 - 3720표  프로그램 MC로 조금은 도전이 필요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여행에 관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오지를 돌아다니며 세계 각국을 소개했던

2023년 대만에서 가장 흔한 '이름'은?

  [대만은 지금 = 류정엽(柳大叔)] 최근 취업사이트 1111이 올해 대만에서 가장 흔한 이름 남녀 TOP8을 조사해 발표했다. 이름들을 살펴 보면 작명 배경에는 부모들의 '사랑'이 담겨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아이들에게서 가장 흔히 보이는 이름은 천천(辰辰), 유유(祐祐)로 꼽혔다. 평범하면서도 좋은 의미를 지녔다는 게 그 이유다.  올해 가장 흔한 남자 이름으로는 젠훙(建宏), 옌팅(彥廷), 청언(承恩), 관위(冠宇) 등으로 나타났다. 가장 흔한 여자 이름은 이전(宜蓁), 신위(欣妤), 스한(詩涵), 융칭(詠晴) 순으로 나타났다. 매우 우아하고 고상하게 들린다.  가장 흔한 남자 이름은 다음과 같다.  1위 젠훙 建宏  2위 옌팅 彥廷 3위 청언 承恩 4위 관위 冠宇 5위 유팅 宥廷 6위 핀위 品睿 7위 바이한 柏翰 8위 바이위 柏宇 대만에서 가장 흔한 여자 이름은 다음과 같다.  1위 이전 宜蓁 2위 신위 欣妤 3위 스한 詩涵 4위 융칭 詠晴 5위 즈칭 子晴 6위 핀옌 品妍 7위 위퉁 羽彤 8위 이쥔 怡君 최근 대만 부모들 사이에서 아이의 이름을 지을 때 튀지 않는 이름이 좋은 이름이라는 인식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대만인들은 "뜻도 좋아 이렇게 이름을 정하는 사람들이 많다", "흔할수록 좋다", "검색하기 쉽지 않다"는 등의 의견을 보이기도 했다. 

대만 야구사상 최대 규모의 한류행사…부산 롯데 자이언츠 응원단도 가세

대만 타오위안 야구장 야외무대에 선 부산 롯데 자이언츠 응원단[류정엽 촬영=대만은 지금] [대만은지금 = 류정엽(柳大叔)] 대만 야구사상 최대 규모의 한류행사가 대만 북부 타오위안(桃園) 국제야구장에서 16일부터 이틀간 성황리에 개최됐다.

한국 드라마 ‘오징어 게임’이 대만에서 성인물 ‘전복 게임’으로 등장…개봉 직후 사이트 폭주

  대만에서 드라마 ‘오징어 게임’을 패러디한 성인물 ‘전복 게임’이 등장했다. [미사 인스타그램 캡처]  [대만은 지금 = 류정엽(柳大叔)]  우리나라 드라마 ‘오징어 게임’이 넷플릭스 90개국 랭킹 1위를 휩쓸며 글로벌 열풍을 일으킨 가운데 대만 성인물 업계까지 강타했다.

최신 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