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대만위키/양안] 대만 차이잉원 총통이 92공식, 일국양제를 한 세트로 입에 올린 그 날 (전문 포함)



안녕하세요. 류군입니다. 어느 분께서 대만 민진당 정부는 92공식(하나의 중국)을 인정한다고 말을 안 했을 뿐,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말한 적이 없다며 거짓선동을 한다고 지적하셨습니다. 오해하신 것 같아 원문을 다시 올려 드리고자 합니다. 

차이잉원 총통이 92공식, 하나의 중국, 일국양제를 한 세트로 입에 올리며 공식적으로 부인한 것은 2019년 1월 2일입니다. 시진핑이 대만동포에 고하는 글(告台灣同胞書)을 발표한 뒤였습니다. 

다음은 전문(중국어, 영어)입니다. 


國人同胞,各位媒體朋友,大家午安。

今天上午,中國國家主席習近平,發表了所謂「告台灣同胞書」40 週年的紀念談話,提出了探索一國兩制台灣方案等相關內容,身為中華民國的總統,我要在此說明我們的立場。

首先,我必須要鄭重指出,我們始終未接受「九二共識」,根本原因就是北京當局所定義的「九二共識」,其實就是「一個中國」、「一國兩制」。今天對岸領導人的談話,證實了我們的疑慮。在這裡,我要重申,台灣絕不會接受「一國兩制」,絕大多數台灣民意也堅決反對「一國兩制」,而這也是「台灣共識」。

其次,我們願意坐下來談,但作為民主國家,凡是涉及兩岸間的政治協商、談判,都必須經過台灣人民的授權與監督,並且經由兩岸的政府,以政府對政府的模式來進行。在這個原則之下,沒有任何人、任何團體,有權力代表台灣人民去進行政治協商。

兩岸關係的發展,我在昨天的新年談話,說得很清楚,那就是中國必須正視中華民國台灣存在的事實,而不是否定台灣人民共同建立的民主國家體制;第二,必須尊重2300萬人民對自由民主的堅持,而不是以分化、利誘的方式,介入台灣人民的選擇。

第三,必須以和平對等的方式來處理雙方之間的歧異,而不是用打壓、威嚇,企圖讓台灣人屈服;第四,必須是政府或政府所授權的公權力機構,坐下來談,任何沒有經過人民授權、監督的政治協商,都不能稱做是「民主協商」。這就是台灣的立場,就是民主的立場。

我們願意在「鞏固民主」及「強化國家安全」基礎上,進行有秩序的、健康的兩岸交流,我也要重申,國內亟需要建立兩岸交流的三道防護網,也就是民生安全、資訊安全及制度化的民主監督機制。

兩岸經貿應該是互惠互利,共榮發展;但我們反對北京以「利中」為核心,以利誘及吸引台灣技術、資本及人才「走進中國大陸」的經濟統戰。我們將全力推動「壯大台灣」的各項策略及措施,鞏固以台灣為主體、台灣優先的經濟發展路線。

過去兩年來,台灣善盡區域成員的義務,積極貢獻於兩岸及區域的和平穩定。我們不挑釁,但堅持原則,我們飽受各種打壓,但我們從未放棄對兩岸關係的基本立場與承諾。我要提醒北京當局,大國必須要有大國的格局,大國的責任,國際社會也正看著中國能不能有所改變,成為受到信任的夥伴。「四個必須」正是兩岸關係能否朝向正面發展,最基本、也最關鍵的基礎。

所謂的心靈契合,應該是建立在彼此的相互尊重與理解,建立在兩岸政府務實處理有關人民福祉的問題上。例如,眼前十萬火急的豬瘟疫情。施壓國際企業塗改台灣的名稱,不會帶來心靈契合;買走台灣的邦交國,也不會帶來心靈契合;軍機、軍艦的繞台,更不會帶來心靈契合。

最後,我要重申,九合一地方選舉的結果,絕不代表台灣基層的民意要放棄主權,也不代表在台灣主體性的問題上做出了退讓。

民主價值是台灣人民所珍惜的價值與生活方式,我們也呼籲中國,勇敢踏出民主的腳步,也唯有如此,才能真正理解台灣人的想法與堅持。

----

My fellow citizens and friends from the media, good afternoon.

This morning, China's President Xi Jinping delivered a speech commemorating the 40th anniversary of the so-called "Message to Compatriots in Taiwan," proposing further exploration of a "one country, two systems" scenario for Taiwan. As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China, I want to explain our position.

First, I must emphasize that we have never accepted the "1992 Consensus." The fundamental reason is because the Beijing authorities' definition of the "1992 Consensus" is "one China" and "one country, two systems." The speech delivered by China's leader today has confirmed our misgivings. Here, I want to reiterate that Taiwan absolutely will not accept "one country, two systems." The vast majority of Taiwanese also resolutely oppose "one country, two systems," and this opposition is also a "Taiwan consensus."

Next, we are willing to engage in negotiations. But as Taiwan is a democratic country, all political consultations and negotiations between the two sides of the Taiwan Strait must be authorized and monitored by the people of Taiwan, and conducted on a government-to-government basis by both sides. Under this principle, no individual or group has the right to represent the people of Taiwan to conduct political consultations or negotiations.

The development of cross-strait relations, as I said very clearly in my new year's talk yesterday, requires that: China must face the reality of the existence of the Republic of China (Taiwan), and not deny the democratic system that the people of Taiwan have established together; second, must respect the commitment of the 23 million people of Taiwan to freedom and democracy, and not foster divisions and offer inducements to interfere with the choices made by the people of Taiwan; third, must handle cross-strait differences peacefully, on the basis of equality, instead of using suppression and intimidation to get Taiwanese to submit; fourth, it must be governments or government-authorized agencies that engage in negotiations. Any political consultations that are not authorized and monitored by the people cannot be called "democratic consultations." This is Taiwan's position, a democratic position.

We are willing, on the basis of "consolidating democracy" and "strengthening national security," to conduct orderly, healthy cross-strait exchanges. I also want to reiterate that domestically, we need to set up a three-part security network for cross-strait exchanges comprised of security for people's livelihoods, information security, and an institutionalized democracy monitoring mechanism.

Cross-strait trade and economic relations should be mutually beneficial, and promote mutual prosperity and development. However, we oppose Beijing making "benefitting China" its core focus, using United Front economic means including financial inducements to attract Taiwan technology, capital, and talent to move to mainland China. We will vigorously promote strategies and measures that strengthen Taiwan to consolidate a Taiwan-centric, Taiwan-first path to economic development.

Over the past two years, Taiwan has faithfully fulfilled its duty as a member of the regional community, actively contributing to cross-strait and regional peace and stability. We do not provoke, but uphold our principles. We have suffered many forms of suppression, but have never abandoned our fundamental position and commitments regarding cross-strait relations. I want to remind the Beijing authorities that a superpower must act with the demeanor and take the responsibility of a superpower, and international society is watching China to see if it can make changes and become a trustworthy partner. The "four musts" are the most basic and crucial foundations that will determine whether cross-strait relations develop in a positive direction.

A so-called "spiritual union" should be built on mutual respect and understanding, with governments on both sides of the strait handling issues regarding the people's welfare pragmatically, such as the urgent swine fever epidemic we are now facing. Pressuring international corporations to change their designation for Taiwan won't bring about a spiritual union, nor will buying off Taiwan's diplomatic allies or circling Taiwan with military aircraft and naval vessels.

Lastly, I want to reiterate that the results of the 9-in-1 elections absolutely do not mean that grassroots public opinion in Taiwan favors abandoning our sovereignty, nor do they mean that the people want to make concessions regarding Taiwanese identity.

Democratic values are the values and way of life that Taiwanese cherish, and we call upon China to bravely move towards democracy. This is the only way they can truly understand Taiwanese people's ideas and commitments. Thank you.

[대만은 지금] 후원하기

최근 인기 뉴스

대만서 가장 흔한 성과 이름은?

가장 흔한 성은 '천',  가장 흔한 이름은 '지아하오', "수펀' 시대별 인기 있는 이름 있어... [대만은 지금 = 박지현(朴智賢) 기자] 대만에서 가장 흔한 성은 '천'(陳, 진) 씨고, 지아하오(家豪, 가호)와 수펀(淑芬, 숙분)을 이름으로 가장 많이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이름은 한국에서 '철수'와 '영희'쯤 되는 범국민적 이름으로 대만에서는 시장에 널린 만큼 흔해 빠졌다는 의미로 소위 ‘시장 이름(菜市場名)’이라고 불린다.

[대만특집] 타이베이101 불꽃놀이, 어디가 가장 잘 보일까? BEST10!

2015년이 막바지에 접어들었다. 'Nature is Future'라는 주제로 펼쳐지는 이번 불꽃 놀이는 이전 불꽃놀이보다 더욱 화려하게 펼쳐질 전망이다. 4500만NTD를 들여 238초 동안 3만 발의 불꽃이 터질 예정인 2016년 1월 1일의 타이베이101 불꽃놀이 ! 어디서 보면 잘 봤다고 소문이 날까? 1. 샹산(象山) 타이베이101 야경을 감상하기 좋은 곳 유명하다. 가파른 계단을 열심히 올라가야 한다는 단점이 있음에도 많은 사람들이 야경을 보러 올라가는 곳이기도 하다. 명칭: 象山親山步道 주소: 110台北市信義區 GPS: 25.026832, 121.575081 샹산에서 바라본 타이베이101 야경 / 타이베이시정부 2. 궈타이금융회의센터 (國泰金融會議中心) 궈타이금융회의센터는 송런로(松仁路)에 있다. 건물 앞 광장에서 바로 타이베이101을 만끽할 수 있는 곳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명칭: 國泰金融中心 주소: 台北市信義區松仁路 GPS: 25.037739, 121.569010 궈타이금용회의센터에서 본 타이베이101 야경 / 플리커 3. 송쇼우공원(松壽公園) 1월 1일마다 엄청난 사람들이 몰리는 이곳은 어디에 있던 101빌딩이 잘 보이는 곳으로 유명하다. 타이베이101에서 추천한 곳 / 타이베이101 명칭: 松壽廣場公園 주소: 110台北市信義區 GPS: 25.037339, 121.566067 4. 네이후 지엔난산(內湖劍南山) 네이후지구에 위치하여 타이베이101를 동북 및 북쪽에서 바라볼 수 있는 곳이다. 사람에 치이는 것을 싫어하는 많은 사진 작가들이 찾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메이리화 대관람차 옆에서 터지는 불꽃도 함께 만끽할 수 있다. 지엔난산에서 맞은 1월 1일 / 픽스넷 5. 국부기념관 (國父紀念館) 명칭: 國父紀念館 주소: 110台北市信義區仁愛路四段505號 GPS: 25.039778, 121.560202 국부기념관에서 바라본 타이베이10...

2023년 대만에서 가장 흔한 '이름'은?

  [대만은 지금 = 류정엽(柳大叔)] 최근 취업사이트 1111이 올해 대만에서 가장 흔한 이름 남녀 TOP8을 조사해 발표했다. 이름들을 살펴 보면 작명 배경에는 부모들의 '사랑'이 담겨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아이들에게서 가장 흔히 보이는 이름은 천천(辰辰), 유유(祐祐)로 꼽혔다. 평범하면서도 좋은 의미를 지녔다는 게 그 이유다.  올해 가장 흔한 남자 이름으로는 젠훙(建宏), 옌팅(彥廷), 청언(承恩), 관위(冠宇) 등으로 나타났다. 가장 흔한 여자 이름은 이전(宜蓁), 신위(欣妤), 스한(詩涵), 융칭(詠晴) 순으로 나타났다. 매우 우아하고 고상하게 들린다.  가장 흔한 남자 이름은 다음과 같다.  1위 젠훙 建宏  2위 옌팅 彥廷 3위 청언 承恩 4위 관위 冠宇 5위 유팅 宥廷 6위 핀위 品睿 7위 바이한 柏翰 8위 바이위 柏宇 대만에서 가장 흔한 여자 이름은 다음과 같다.  1위 이전 宜蓁 2위 신위 欣妤 3위 스한 詩涵 4위 융칭 詠晴 5위 즈칭 子晴 6위 핀옌 品妍 7위 위퉁 羽彤 8위 이쥔 怡君 최근 대만 부모들 사이에서 아이의 이름을 지을 때 튀지 않는 이름이 좋은 이름이라는 인식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대만인들은 "뜻도 좋아 이렇게 이름을 정하는 사람들이 많다", "흔할수록 좋다", "검색하기 쉽지 않다"는 등의 의견을 보이기도 했다. 

[대만 꿀팁] 대만 주소의 영문주소 표기 방법

  [대만은 지금 = 안재원]  대만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가끔 부딪히는 문제 중 하나가 바로 주소다. 사실, 중국어로 주소를 적는 것은 문제가 아니다. 한국과 대만의 주소 체계는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큰 어려움은 없다. 하지만 가끔 국제 택배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영문주소로 변환하는 것이 문제이다. 이 문제는 대만의 행정구역 단위만 대략 알고 있으면 쉽게 해결이 가능하다. 대만 주소는 일반적으로 시/현, 구, 그리고 길 이름과 번지수로 구분되어 있다. 길은 규모에 따라서 路(로)와 街(가)가 있으며 도로가 길 경우 段(단)과 弄(농)으로 구분이 된다. 그리고 마지막에 번지수가 온다. 즉 한국처럼 큰 단위부터 써내려 간다. 이에 반해 영어주소는 작은 단위부터 써내려가기 때문에 조금 헷갈릴 수 있다. 이 순서를 대략적으로 인지하고 아래 표를 본 다음 간단한 예시를 통해 복습을 해보자.   가끔 대만 주소를 보면 길 이름에 동서남북이 들어간다. 이 같은 경우도 어려울 게 없다. 그대로 영문으로 길 이름을 쓰고 東(E)、西(W)、南(S)、北(N)에 맞는 알파벳을 넣어주면 된다. 예를 들어 南京東路(남경동로)를 영문으로 변환하면 Nanjing E. Rd. 이렇게 된다. 완벽한 이해를 위해 사범대(師範大學) 주소를 가지고 예시를 들어보겠다. 사범대 주소는 台北市大安區和平東路一段162號로 표기된다. 구역을 각각 나누어 보면 아래와 같다. 台北市 – Taipei City 大安區 – Da’an Dist. 和平東路 – Heping E Rd. 一段 – Sec.1 162號 – No.162 우선 이렇게 주소를 변환한 후 영문 주소 순서에 맞게 배열하면 아래와 같은 주소가 된다. No.162, Sec.1, Heping E. Rd., Da’an Dist., Taipei City 물론 우체국 사이트에서 주소를 입력하고 변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제일 편하고 빠른 방법이기는만 이런 소소한 지식들을 알아가는 것도 해외생활의 작은 묘미라 생각한...

대만 가오슝(高雄) 초대형 벽화로 뒤덮인 마을이 있다?

[대만은 지금 = 전미숙(田美淑)] 대만 가오슝(高雄)에 초대형 벽화로 뒤덮인 마을이 주목을 받고 있다. 가오슝(高雄)에 있는 '웨이우잉벽화마을'(衛武營彩繪村)은 대만에서 가장 큰 대형벽화가 그려져 있는 마을로 새로운 관광 명소가 됐다.

[특집] 10월 10일은 중화민국 쌍십절(雙十節)

대만 국경일, 10월 10일: 10이 두 개 그래서 쌍십절 대만(타이완) 중화민국(中華民國)의 쌍십절(雙十節)은 대만의 국경일(國慶日)이다. 엄밀히 말하면 중화민국의 국경일로 건국을 기념한다. 우리나라의 한글날과 하루 차이로 대만은 이 날을 공휴일로 지정하고 있다. 쌍십절이라는 명칭 외에도 쌍십국경(雙十國慶), 쌍십경전(雙十慶典) 등으로 불린다. 간단하게 말해 중화민국의 국경일은 10월 10일이다. 많은 현지인들은 '대만의 생일'로 알고 있다. 쌍십절의 기원: 우창봉기(武昌起義) 쌍십절의 기원은 우창봉기로부터 비롯된다. 우창봉기는 신해혁명(辛亥革命)의 시초가 된 봉기다. 우창은 중국대륙 후베이성(湖北省)에 있는 지역으로 1911년 10월 10일 아침에 일어났으나 신해혁명으로 이어져 청나라를 무너뜨리고 중화민국이 탄생한다. 핵심인물: 쑨원(孫文) 국부(國父)라고 알려진 쑨원은 중산(中山)이라고도 불린다. 1911년의 신해혁명을 성공적으로 이끈 그는 1912년에 중화민국 임시 총통이 되었으나 타이베이에는 국부기념관(國父紀念館)과 함께 많은 공공기관에서 쑨원 사진을 쉽게 볼 수 있다. 민주주의 국가임에도 마치 특정 인물을 찬양하는 공산국가와 같은 느낌이 있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하지만 중화민국 건립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 인물은 쑨원이었기에 그럴 수 밖에 없다는 의견도 다분하다. 또한 그는 한국 독립운동에 아낌없는 지원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창립에 큰 기여를 하여 1962년과 1968년에 우리나라로부터 건국훈장을 받기도 했다. 그의 묘는 중국 난징(南京)에 있다.  타이완 입법원(立法院)에 걸려 있는 쑨원 사진 / NEWSLENS 국경일, 열병식은 볼거리 타이베이에 중화민국을 상징하는 국부기념관, 중정기념당 등에 가면 중화민국 군인들의 열병을 볼 수 있다. 또 다른 볼거리다. 육, 해, 공군 전군이 참여하여 하는 이 행사는 중화민국 군대의 위엄을 느낄 수 있다.  1964년 쌍십절 모습 ...

최신 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