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대만 해양쓰레기 밀집 지역 둥베이자오(東北角), 란위(蘭嶼)


[대만은 지금 = 전미숙(田美淑)]

대만 해양의 80%에서 떠다니는 쓰레기를 볼 수 있으며 둥베이자오(東北角)와 란위(蘭嶼)가 해양쓰레기 밀집 지역이라는 대만 해양 오염 실태 조사 내용이 발표됐다.

대만 자유시보와 연합보에 따르면, 헤이차오문교기금회(黑潮海洋文教基金會)와 해양대학(海洋大學) 연구팀이 대만 해양 오염 실태를 조사해 9월 4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5월 30일 화롄항(花蓮港)을 출발해 대만 해역을 일주하며 대만 12개 어항을 '플라스틱 미립자, '용존산소량', '수중환경' 등 51개 항목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둥베이자오'(東北角)와 란위(蘭嶼)가 해양쓰레기 밀집 지역으로 그중 선아오자자오(深澳岬角)는 해양쓰레기 밀집도가 가장 높아 세계 3위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대만 바다에서 가장 많은 볼 수 있는 쓰레기로는 플라스틱 종류가 66%, 스티로폼 종류가 17%를 차지했다.

가오슝(高雄) 훙마오항(紅毛港)에서는 산업폐수에서 볼 수 있는 '페놀'이 표준치의 2.46배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해양 생물에 유독하며 학자들은 먹이사슬을 통해 인간에게도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우려했다.

황샹원(黃向文) 행정원 해양위원회 해양보육서(海洋保育署) 서장은 "현재의 국내 해양 오염 검사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지 않다. 직접적인 오염원을 찾기란 쉽지 않다"고 설명하면서 "환경보호서, 교통부 등과 함께 협력해 해양 오염에 대한 검사시스템과 페놀에 대한 오염원 조사와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가오슝(高雄) 훙마오항(紅毛港)[전미숙 촬영 = 대만은 지금]
한편, 해양보육서는 2018년 상반년 각 바다에서 수거한 쓰레기양은 55t이며 쓰레기의 90% 이상은 재활용할 수 없는 자원이라고 발표했다.

가장 많은 쓰레기양이 처리된 곳은 신주현(新竹縣)이고 다음이 진먼현(金門縣)이었다.

해양보육서는 올 하반기에도 계속해서 환경보호서와 각 현과 도시와 협력해 해양쓰레기를 줄이게 하기 위한 노력에도 힘쓰겠다고 밝혔다.

[대만은 지금] 후원하기

최근 인기 뉴스

한국 드라마 ‘오징어 게임’이 대만에서 성인물 ‘전복 게임’으로 등장…개봉 직후 사이트 폭주

  대만에서 드라마 ‘오징어 게임’을 패러디한 성인물 ‘전복 게임’이 등장했다. [미사 인스타그램 캡처]  [대만은 지금 = 류정엽(柳大叔)]  우리나라 드라마 ‘오징어 게임’이 넷플릭스 90개국 랭킹 1위를 휩쓸며 글로벌 열풍을 일으킨 가운데 대만 성인물 업계까지 강타했다.

대만서 가장 흔한 성과 이름은?

가장 흔한 성은 '천',  가장 흔한 이름은 '지아하오', "수펀' 시대별 인기 있는 이름 있어... [대만은 지금 = 박지현(朴智賢) 기자] 대만에서 가장 흔한 성은 '천'(陳, 진) 씨고, 지아하오(家豪, 가호)와 수펀(淑芬, 숙분)을 이름으로 가장 많이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이름은 한국에서 '철수'와 '영희'쯤 되는 범국민적 이름으로 대만에서는 시장에 널린 만큼 흔해 빠졌다는 의미로 소위 ‘시장 이름(菜市場名)’이라고 불린다.

[대만 꿀팁] 대만 주소의 영문주소 표기 방법

  [대만은 지금 = 안재원]  대만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가끔 부딪히는 문제 중 하나가 바로 주소다. 사실, 중국어로 주소를 적는 것은 문제가 아니다. 한국과 대만의 주소 체계는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큰 어려움은 없다. 하지만 가끔 국제 택배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영문주소로 변환하는 것이 문제이다. 이 문제는 대만의 행정구역 단위만 대략 알고 있으면 쉽게 해결이 가능하다. 대만 주소는 일반적으로 시/현, 구, 그리고 길 이름과 번지수로 구분되어 있다. 길은 규모에 따라서 路(로)와 街(가)가 있으며 도로가 길 경우 段(단)과 弄(농)으로 구분이 된다. 그리고 마지막에 번지수가 온다. 즉 한국처럼 큰 단위부터 써내려 간다. 이에 반해 영어주소는 작은 단위부터 써내려가기 때문에 조금 헷갈릴 수 있다. 이 순서를 대략적으로 인지하고 아래 표를 본 다음 간단한 예시를 통해 복습을 해보자.   가끔 대만 주소를 보면 길 이름에 동서남북이 들어간다. 이 같은 경우도 어려울 게 없다. 그대로 영문으로 길 이름을 쓰고 東(E)、西(W)、南(S)、北(N)에 맞는 알파벳을 넣어주면 된다. 예를 들어 南京東路(남경동로)를 영문으로 변환하면 Nanjing E. Rd. 이렇게 된다. 완벽한 이해를 위해 사범대(師範大學) 주소를 가지고 예시를 들어보겠다. 사범대 주소는 台北市大安區和平東路一段162號로 표기된다. 구역을 각각 나누어 보면 아래와 같다. 台北市 – Taipei City 大安區 – Da’an Dist. 和平東路 – Heping E Rd. 一段 – Sec.1 162號 – No.162 우선 이렇게 주소를 변환한 후 영문 주소 순서에 맞게 배열하면 아래와 같은 주소가 된다. No.162, Sec.1, Heping E. Rd., Da’an Dist., Taipei City 물론 우체국 사이트에서 주소를 입력하고 변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제일 편하고 빠른 방법이기는만 이런 소소한 지식들을 알아가는 것도 해외생활의 작은 묘미라 생각한...

대만 음력설 '춘제' 대만인들은 뭐할까? 설 아침에 씻으면 NO?!

[안세익 촬영=대만은 지금] [대만은 지금 = 류정엽(柳大叔)] 대만에서 음력설인 춘제(春節)는 연중 가장 중요한 명절이다. 대부분 고향이나 집으로 돌아가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며, 집을 청소하는 등 신년을 함께 맞이 한다. 또한 음력설에는 해서는 안될 여러가지 일과 금기 사항도 존재한다. 대만에서 전하는 생생한 소식, ' 대만은 지금 '과 함께 알아보자. 다문화가 공존하는 대만은 지역, 민족, 종교, 가정에 따라 설 풍습이 다를 수도 있음을 먼저 알린다.

최신 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