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기차역서 구걸하는 20대 대만여성의 사연 화제


[대만은 지금 = 류정엽(柳大叔)]


대만 타오위안시(桃園市) 중리(中壢) 기차역 부근에서 분홍색 여행가방을 끌고 바닥에 앉아 구걸하는 20대 여성이 화제가 됐다. 



9일 대만 이티투데이 등에 따르면 24세로 알려진 여성은 중리역 앞에서 쌀쌀해진 날씨에도 반바지와 재킷만 걸친 채 쭈그리고 앉아 구걸을 하고 있었다. 

그는 이런 생활을 한지 1년이 넘었다고 했다. 

그의 모습이 담긴 사진이 인턴넷 토론사이트에 올라오면서 대만 네티즌들의 이목을 끌었다. 

그는 기차역 구석에서 일회용 컵라면 용기를 앞에 두고 쭈그리고 앉아 있었다. 

한 네티즌은 걱정이 되어 사진을 찍어 경찰에 신고했다고 밝혔다. 

사진을 본 네티즌들는 여성이 슬퍼보인다고 했다. 

이 여성은 이티투데이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자신의 집안은 저소득층이라며 자신은 고2 때 경제적 문제로 자퇴했다고 밝혔다. 

그는 중학교를 졸업하고 미용을 공부하기 위해 한 사립 직업 고등학교에 진학했으나 꿈을 포기해야만 했다. 

당시 아버지는 병상에 있었고 어머니의 수입은 고작 2만 대만달러에 불과했다. 2민 대만달러는 약 80만 원이다. 

학교를 그만둔 여성은 직업을 찾기 위해 신베이시 취업서비스센터를 찾아 어렵사리 직업을 구했다. 물건을 포장하는 일이었다. 

하지만 이 일을 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회사로부터 해고를 당했다. 동작이 너무 느리다는 이유로 해고됐다고 여성은 말했다. 

결국 그는 타오위안에 있는 집으로 돌아와 홀로 시간을 보내게 됐다. 그에게는 동생이 세 명이 있지만 모두 생계를 위해 집에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결국 지루함을 느낀 여성은 거지가 되기로 결심했다. 그뒤로 현재까지 1년 넘게 구걸 생활을 이어오고 있다. 

그는 취재기자에게 이렇게 해서 500만 대만달러를 저축하는 것이 꿈이라며 이 돈이 있으면 하고 싶은 것을 하면서 살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신문은 여성이 있는 주변 상점, 행인들 모두 그에게 따뜻했다고 전했다. 

일부 식당에서는 그에게 먹을 것을 주기도 한다. 그가 특별히 먹고 싶은 게 있으면 행인들이 그에게 막을 것을 사다 주기도 한다고 신문은 전했다. 

그는 가끔은 낯선 아저씨들이 다가와 집에 데려다 주겠다고 말하기도 하지만 상대하지 않는다고 했다. 

현재 그는 집을 나와 월 6천 대만달러 짜리 단칸방에 살고 있다고 했다. 그가 돈이 없으면 아버지가 돈을 보태줄 것이라고 했다. 

그가 구걸하는 시간은 낮 11시부터 밤 11시까지로 매일 12시간을 밖에서 보내고 있다. 

그의 수입은 운이 좋으면 최대 2000대만달러(8만 원)를 벌지만 운이 정말 나쁠 경우 200대만달러를 번다고 말했다. 

여성은 편의점 일을 하면 어떻겠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편의점 일은 많은 기술이 필요하다며 이를 다 배울 능력이 없다고 담담하게 말했다. 

그는 또 몸이 안 좋기 때문에 너무 힘든 일은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火車站日前晚間有民眾發現1名年輕女子獨自提著粉紅色行李箱坐在地上,僅穿著短褲、外套,在寒冷的天氣裡顯得格外引人注目。《ETtoday新聞雲》記者7日獨家訪問到這名24歲沈女,她表示已經在這將近一年多了,且大方承認就是想當「乞丐」,她覺得家裡很窮,加上在家悶悶的,才會起心動念當乞丐,目標是存到500萬。

[대만은 지금] 후원하기

최근 인기 뉴스

대만서 가장 흔한 성과 이름은?

가장 흔한 성은 '천',  가장 흔한 이름은 '지아하오', "수펀' 시대별 인기 있는 이름 있어... [대만은 지금 = 박지현(朴智賢) 기자] 대만에서 가장 흔한 성은 '천'(陳, 진) 씨고, 지아하오(家豪, 가호)와 수펀(淑芬, 숙분)을 이름으로 가장 많이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이름은 한국에서 '철수'와 '영희'쯤 되는 범국민적 이름으로 대만에서는 시장에 널린 만큼 흔해 빠졌다는 의미로 소위 ‘시장 이름(菜市場名)’이라고 불린다.

[단독] 서울에서 발견한 대만 한국인의 흔적, 대만산 ‘대형목각호랑이’

서울올림픽 성공 기원을 담아 기증된 대만산 목각호랑이 [류정엽 촬영=대만은 지금] [대만은 지금 = 류정엽(柳大叔)] 서울올림픽이 개최된지 어느덧 30년이 훌쩍 지났다. 국내외 한국인들은 하나가 되어 올림픽의 성공을 기원했고, 이를 통해 한국이 국제 사회에서 큰 입지를 다져 국격이 높아지길 바랐다. 물론, 재대만 한인들도 예외는 아니었다.

2023년 대만에서 가장 흔한 '이름'은?

  [대만은 지금 = 류정엽(柳大叔)] 최근 취업사이트 1111이 올해 대만에서 가장 흔한 이름 남녀 TOP8을 조사해 발표했다. 이름들을 살펴 보면 작명 배경에는 부모들의 '사랑'이 담겨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아이들에게서 가장 흔히 보이는 이름은 천천(辰辰), 유유(祐祐)로 꼽혔다. 평범하면서도 좋은 의미를 지녔다는 게 그 이유다.  올해 가장 흔한 남자 이름으로는 젠훙(建宏), 옌팅(彥廷), 청언(承恩), 관위(冠宇) 등으로 나타났다. 가장 흔한 여자 이름은 이전(宜蓁), 신위(欣妤), 스한(詩涵), 융칭(詠晴) 순으로 나타났다. 매우 우아하고 고상하게 들린다.  가장 흔한 남자 이름은 다음과 같다.  1위 젠훙 建宏  2위 옌팅 彥廷 3위 청언 承恩 4위 관위 冠宇 5위 유팅 宥廷 6위 핀위 品睿 7위 바이한 柏翰 8위 바이위 柏宇 대만에서 가장 흔한 여자 이름은 다음과 같다.  1위 이전 宜蓁 2위 신위 欣妤 3위 스한 詩涵 4위 융칭 詠晴 5위 즈칭 子晴 6위 핀옌 品妍 7위 위퉁 羽彤 8위 이쥔 怡君 최근 대만 부모들 사이에서 아이의 이름을 지을 때 튀지 않는 이름이 좋은 이름이라는 인식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대만인들은 "뜻도 좋아 이렇게 이름을 정하는 사람들이 많다", "흔할수록 좋다", "검색하기 쉽지 않다"는 등의 의견을 보이기도 했다. 

[대만 꿀팁] 대만 주소의 영문주소 표기 방법

  [대만은 지금 = 안재원]  대만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가끔 부딪히는 문제 중 하나가 바로 주소다. 사실, 중국어로 주소를 적는 것은 문제가 아니다. 한국과 대만의 주소 체계는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큰 어려움은 없다. 하지만 가끔 국제 택배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영문주소로 변환하는 것이 문제이다. 이 문제는 대만의 행정구역 단위만 대략 알고 있으면 쉽게 해결이 가능하다. 대만 주소는 일반적으로 시/현, 구, 그리고 길 이름과 번지수로 구분되어 있다. 길은 규모에 따라서 路(로)와 街(가)가 있으며 도로가 길 경우 段(단)과 弄(농)으로 구분이 된다. 그리고 마지막에 번지수가 온다. 즉 한국처럼 큰 단위부터 써내려 간다. 이에 반해 영어주소는 작은 단위부터 써내려가기 때문에 조금 헷갈릴 수 있다. 이 순서를 대략적으로 인지하고 아래 표를 본 다음 간단한 예시를 통해 복습을 해보자.   가끔 대만 주소를 보면 길 이름에 동서남북이 들어간다. 이 같은 경우도 어려울 게 없다. 그대로 영문으로 길 이름을 쓰고 東(E)、西(W)、南(S)、北(N)에 맞는 알파벳을 넣어주면 된다. 예를 들어 南京東路(남경동로)를 영문으로 변환하면 Nanjing E. Rd. 이렇게 된다. 완벽한 이해를 위해 사범대(師範大學) 주소를 가지고 예시를 들어보겠다. 사범대 주소는 台北市大安區和平東路一段162號로 표기된다. 구역을 각각 나누어 보면 아래와 같다. 台北市 – Taipei City 大安區 – Da’an Dist. 和平東路 – Heping E Rd. 一段 – Sec.1 162號 – No.162 우선 이렇게 주소를 변환한 후 영문 주소 순서에 맞게 배열하면 아래와 같은 주소가 된다. No.162, Sec.1, Heping E. Rd., Da’an Dist., Taipei City 물론 우체국 사이트에서 주소를 입력하고 변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제일 편하고 빠른 방법이기는만 이런 소소한 지식들을 알아가는 것도 해외생활의 작은 묘미라 생각한다. 

[포토뉴스] 대만 노동절, 현장을 가다

5월 1일 노동절(勞動節)을 맞이하여 대만 전국 각지에서 타이베이로 모인  80여 개 노조, 약 1만여 명이 도심 행진을 가졌다. <사진: 류정엽(柳大叔)> 다른 기사 보기 노동절, 1만여 명 전국에서 모여 <대만은 지금> (페이스북) 좋아요 누르러 가기

최신 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