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2019년 10월 10일 대만 국경일 차이잉원(蔡總統) 총통 연설 전문

[대만은 지금 = 전미숙(田美淑)]

2019년 10월 10일 대만 국경일 차이잉원(蔡總統) 총통 담화 전문이다.

民國108年國慶大會 國慶談話 蔡總統 全文

大會主席蘇嘉全院長、現場各位貴賓、電視機前和網路上的全體國人同胞,大家早安,大家好。

今天,是中華民國108年的國慶日,謝謝來自世界各地的好朋友,跟我們共度這個值得紀念的日子。這一天是屬於全國2300萬人民的日子,我要感謝馬前總統、呂前副總統、吳前副總統,以及各政黨主席,一起前來慶祝國慶。

去年,也是在國慶日,我和大家說,台灣正處在變局當中。世界貿易局勢的變動、國際政治情勢的變化,都讓未來充滿了挑戰。我們必須「求穩、應變、進步」,厚植實力、壯大台灣。

轉眼又過了一年,世界依然快速變化,甚至更加劇烈。美中貿易戰的持續進行;距離我們不遠的香港,因為「一國兩制」的失敗,正處於失序邊緣。

儘管如此,中國依然以「一國兩制台灣方案」,不斷威脅我們,並且採取各種文攻武嚇,強烈挑戰了區域的穩定及和平。

各位國人同胞,當自由民主受到挑戰,當中華民國的生存發展受到威脅,我們就必須站出來捍衛。拒絕「一國兩制」,是2300萬台灣人民不分黨派、不分立場,彼此間最大的共識。

中華民國已經在台灣屹立超過70年,一旦接受「一國兩制」,中華民國就沒有生存的空間。身為總統,站出來守衛國家主權,不是挑釁,而是我最基本的責任。

70年來,我們共同經歷了種種嚴峻的挑戰。每一次挑戰,不但沒有擊倒我們,反而讓我們更強壯、更堅定。

我們一起走過八二三砲戰,一起度過1996年台海危機。一次又一次文攻武嚇,從來就沒有讓台灣人民屈服。我們共同捍衛腳下這塊土地,也捍衛了我們國家的主權。

我們經歷過退出聯合國的恐慌,也承受過一次又一次的斷交壓力。但台灣人民想要走向世界的決心,不曾有任何的改變。

1970年代的石油危機,1997年的亞洲金融風暴,千禧年的網路泡沫,還有10年前的金融海嘯。經濟總是充滿挑戰,但一卡皮箱走遍天下的台商,加上勤奮又有創意的台灣人民,讓我們一次又一次,把危機化做轉機,讓台灣的經濟持續往前走。

我們也經歷過八七水災、九二一地震、SARS風暴、八八風災。天災病變的磨難,沒有擊敗過台灣人民奮鬥生存的意志。家園毀壞了,我們重建;土地受傷了,我們復原。擦乾眼淚,重新站起,明天又是充滿希望的一天。

這些共同的記憶,彰顯了台灣人民的韌性。因為有這樣的韌性,我們成為亞洲四小龍的一員。因為這樣的韌性,我們走過了民主化艱鉅的歷程,成為世界上重要的民主典範。

我們共同走過這一段路,無論是哪個黨派,只要是生活在這塊土地上的人民,都不能分割彼此。中華民國不是誰的專利,台灣也不是誰可以獨佔。「中華民國台灣」六個字,絕對不是藍色、也不會是綠色,這就是整個社會最大的共識。

展望未來,前方的挑戰還有很多,等著我們一一克服。

我們看到中國崛起跟擴張,以威權體制,結合民族主義和經濟力量,挑戰自由民主的價值和世界秩序。也因此,處於印太地區戰略前緣的台灣,成為守護民主價值的第一道防線。

中國利用「銳實力」步步進逼,但我們很清楚,作為區域的重要成員,台灣要善盡國際責任。我們不挑釁、不冒進,結合理念相近的國家,確保台海和平穩定的現狀,不會被片面改變。

要做到這些,我們必須要團結。儘管台灣社會曾經因為族群、世代、信仰、黨派的差異,而出現爭執,但透過對話,我們一定可以找到彼此可以接受的最大公約數。經驗證明,衝突、對話、團結進步,會引導國家往正確的方向前進。

我們必須堅守自由民主的價值。台灣人民曾經一起走過民主化艱辛的道路,民主偶有紛擾,但只有民主制度,能夠保障得來不易的自由,也才能讓下一代保有決定未來的權利。

我們也必須持續壯大台灣。三年多來,我們努力調整經濟結構,引導產業升級轉型、推動國際多元布局。我們迎來投資大爆發,在全球經濟的變動中,站穩了腳步,方向是對的,我們就要繼續往前走。

三年多來,我們努力維護社會公平,加薪減稅、全面照顧,讓全民分享經濟成長的果實。未來,推動長照2.0升級,推動幼托補助擴大,減輕民眾負擔,使人人可以享有優質的照顧,是政府要繼續努力的方向。

三年多來,我們推動國防自主、採購先進武器,提升國軍士氣,強化充足戰力。國造高教機的原型機剛剛出廠,國造艦艇也將陸續加入建軍的行列。捍衛國土、堅守自由民主,國軍責無旁貸。

三年多來,我們積極參與國際,負責任、肯貢獻,成為維護區域和平穩定,不可或缺的良善力量。我們會持續和理念相近的國家攜手,爭取更多實質合作的機會。

未來的路線很清楚,目標也很明確。

第一,讓國人繼續團結在自由民主的旗幟下,捍衛國家主權。

第二,持續壯大台灣,強化經濟實力,讓民富而國強。

第三,積極走向世界,克服挑戰,讓中華民國台灣在國際舞台上抬頭挺胸,勇敢自信。

上一季,我們的經濟成長率,已經重返亞洲四小龍之首。世界經濟論壇評比我們是四大「超級創新國」之一。我們的高科技和創新產業,也走在世界的最前端。

我們的體育選手、我們的技能國手,無數充滿創意的設計師、藝術家,在國際舞台發光發熱,帶給台灣榮耀和驕傲。

我們自製的福衛五號,以及福衛七號接連升空,展現太空科技實力。就連人類歷史上第一次觀測到的黑洞影像,也有台灣科學團隊的參與。

當我們可以上太空,可以看見5500萬光年外的黑洞,那麼,眼前還有什麼挑戰,是我們沒有勇氣面對的呢?

歷史的磨難,會因為我們的韌性,而被轉換成為成長的力量。天災的挑戰,會因為我們的努力,而成為再生的契機。這塊土地上每一個努力的人、還有每一個人的努力,都讓我們的國家,一天一天變得更好、更進步。

在國慶日這一天,這塊土地上所有的人民,都團結在自由民主的旗幟下,樂觀面對未來、堅定克服挑戰。天佑台灣,台灣加油,中華民國加油。謝謝大家。

[대만은 지금] 후원하기

최근 인기 뉴스

대만서 가장 흔한 성과 이름은?

가장 흔한 성은 '천',  가장 흔한 이름은 '지아하오', "수펀' 시대별 인기 있는 이름 있어... [대만은 지금 = 박지현(朴智賢) 기자] 대만에서 가장 흔한 성은 '천'(陳, 진) 씨고, 지아하오(家豪, 가호)와 수펀(淑芬, 숙분)을 이름으로 가장 많이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이름은 한국에서 '철수'와 '영희'쯤 되는 범국민적 이름으로 대만에서는 시장에 널린 만큼 흔해 빠졌다는 의미로 소위 ‘시장 이름(菜市場名)’이라고 불린다.

2023년 대만에서 가장 흔한 '이름'은?

  [대만은 지금 = 류정엽(柳大叔)] 최근 취업사이트 1111이 올해 대만에서 가장 흔한 이름 남녀 TOP8을 조사해 발표했다. 이름들을 살펴 보면 작명 배경에는 부모들의 '사랑'이 담겨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아이들에게서 가장 흔히 보이는 이름은 천천(辰辰), 유유(祐祐)로 꼽혔다. 평범하면서도 좋은 의미를 지녔다는 게 그 이유다.  올해 가장 흔한 남자 이름으로는 젠훙(建宏), 옌팅(彥廷), 청언(承恩), 관위(冠宇) 등으로 나타났다. 가장 흔한 여자 이름은 이전(宜蓁), 신위(欣妤), 스한(詩涵), 융칭(詠晴) 순으로 나타났다. 매우 우아하고 고상하게 들린다.  가장 흔한 남자 이름은 다음과 같다.  1위 젠훙 建宏  2위 옌팅 彥廷 3위 청언 承恩 4위 관위 冠宇 5위 유팅 宥廷 6위 핀위 品睿 7위 바이한 柏翰 8위 바이위 柏宇 대만에서 가장 흔한 여자 이름은 다음과 같다.  1위 이전 宜蓁 2위 신위 欣妤 3위 스한 詩涵 4위 융칭 詠晴 5위 즈칭 子晴 6위 핀옌 品妍 7위 위퉁 羽彤 8위 이쥔 怡君 최근 대만 부모들 사이에서 아이의 이름을 지을 때 튀지 않는 이름이 좋은 이름이라는 인식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대만인들은 "뜻도 좋아 이렇게 이름을 정하는 사람들이 많다", "흔할수록 좋다", "검색하기 쉽지 않다"는 등의 의견을 보이기도 했다. 

[대만 꿀팁] 대만 주소의 영문주소 표기 방법

  [대만은 지금 = 안재원]  대만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가끔 부딪히는 문제 중 하나가 바로 주소다. 사실, 중국어로 주소를 적는 것은 문제가 아니다. 한국과 대만의 주소 체계는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큰 어려움은 없다. 하지만 가끔 국제 택배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영문주소로 변환하는 것이 문제이다. 이 문제는 대만의 행정구역 단위만 대략 알고 있으면 쉽게 해결이 가능하다. 대만 주소는 일반적으로 시/현, 구, 그리고 길 이름과 번지수로 구분되어 있다. 길은 규모에 따라서 路(로)와 街(가)가 있으며 도로가 길 경우 段(단)과 弄(농)으로 구분이 된다. 그리고 마지막에 번지수가 온다. 즉 한국처럼 큰 단위부터 써내려 간다. 이에 반해 영어주소는 작은 단위부터 써내려가기 때문에 조금 헷갈릴 수 있다. 이 순서를 대략적으로 인지하고 아래 표를 본 다음 간단한 예시를 통해 복습을 해보자.   가끔 대만 주소를 보면 길 이름에 동서남북이 들어간다. 이 같은 경우도 어려울 게 없다. 그대로 영문으로 길 이름을 쓰고 東(E)、西(W)、南(S)、北(N)에 맞는 알파벳을 넣어주면 된다. 예를 들어 南京東路(남경동로)를 영문으로 변환하면 Nanjing E. Rd. 이렇게 된다. 완벽한 이해를 위해 사범대(師範大學) 주소를 가지고 예시를 들어보겠다. 사범대 주소는 台北市大安區和平東路一段162號로 표기된다. 구역을 각각 나누어 보면 아래와 같다. 台北市 – Taipei City 大安區 – Da’an Dist. 和平東路 – Heping E Rd. 一段 – Sec.1 162號 – No.162 우선 이렇게 주소를 변환한 후 영문 주소 순서에 맞게 배열하면 아래와 같은 주소가 된다. No.162, Sec.1, Heping E. Rd., Da’an Dist., Taipei City 물론 우체국 사이트에서 주소를 입력하고 변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제일 편하고 빠른 방법이기는만 이런 소소한 지식들을 알아가는 것도 해외생활의 작은 묘미라 생각한...

[대만생활] 대만 사람들이 뽑은 한국 음식 TOP 10

대만 사람들에게는 이미 한국 음식이 더 이상 낯설지가 않다. 많은 사람들이 즐겨 먹고 있으며 심지어 한국 음식을 배우려는 사람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대만에서 한국 음식점 수도 최근 2년 사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타이베이의 번화가에 가면 한 구역 건너 하나씩 볼 수 있다. 대만에서 먹는 한국 음식이 과연 한국에서 먹는 맛이 날까? 대부분의 대만 사람들의 의견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 대부분이다. 비교적 로컬화된 음식을 팔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타지에 온 유학생이나 워홀러들에게는 이것마저도 고마울 따름이다. 한국에 살다 대만으로 온 한 미국인(영어강사)은 "대만의 한국 음식은 주인이 한국 사람이어도 한국 맛보다는 대만 맛이 더 강한 편"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음식이 현지인을 상대로 현지화가 되어야 한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당연하다. 그래왔기에 오히려 한국 음식이 대만 사람들에게 더욱 사랑 받을 수 있지 않았을까? 대만 최대 설문조사 사이트 데일리뷰(dailyview) 는 약 3만 여명을 대상으로 대만 사람들이 좋아하는 한국 음식 10개에 대해 투표 방식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 했다. 조사는 2014년 10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총 6개월에 걸쳐 이루어졌다. 10위부터 살펴 보기로 하자. 10위. 짜장면 9위. 삼계탕 8위. 게장 7위. 설렁탕 6위. 닭갈비 5위. 떡볶이 4위. 족발 3위. 한국식 전류 (해물전, 김치전 등) 2위. 치킨 1위. 한국식 BBQ  대만 사람과 함께 식사할 기회가 있다면 한번 참고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대만은지금   @  柳大叔, 愛臺灣的韓國人 제보/후원/제휴 문의: nowformosa@gmail.com  Facebook Page: www.facebook....

[대만인 기고] 대만 군대 생활(1) - 청궁링(成功嶺)훈련소에서 기초군사훈련을 받다

  [차오중닝 제공 = 대만은 지금] *편집자 주: 대만인 독자께서 한국어로 직접 정성스럽게 써서 보내주셨습니다. 최소한의 편집으로 원고의 느낌을 살리고자 하였습니다. 대만스러운 표현이 있더라도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본 원고는 '대만은 지금'의 의도와는 무관함을 알려드립니다. [글 = 대만인 차오중닝(曹仲寧)] 핵무기로 유명한 북한은 한국의 북쪽에 위치하며, 많은 사람이 '세계의 민폐'로 간주하는 중국은 대만의 서쪽에 있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대만 남자도 군대에 가야 된다. 대만은  2012년부터 1994년 이후 출생자를 대상으로 5주 기초군사교육과 11주 군사특기 교육으로 의무복무 기간이 축소되었다.   대만 남자는 548일을 복무하는 한국 남자와 비해, 운이 좋은 것 같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에게 있어서 군대에 가는 것 자체가 기분이 썩 좋지 않은 일이기에 복무기간이 한국보다 짧다 해도 군대라는 것 자체가 힘겹게 들린다. 대부분의 한국 남자들은 대학교 2학년이 되기 전에 군대에 간다고 들었다. 대만에는 남자가 고등학교나 대학교에서 졸업한 후에야 군대에 가는 경우가 흔하다. 고3이나 대학교 4학년 때 구/시/군청 병역과가 보내는 건강검사 통지서를 받는다. 지정된 날에 병원에서 건강검사 통지서를 가지고 건강검사를 받아야 한다. 검사의 목적은 사람의 체력 상태가 군대에 맞는 지 확인하는 것이다. 어떤 사람은 병역 면제를 위해서 건강검사를 받기 전날 고의적으로 나쁘게 식사를 하고, 비만 혹은 체중 부족 등을 이유로 병역 면제를 원한다.  그리고 체대역을 복무하는 상황도 점점 늘고 있다. 체대역은 군사훈련을 대신하여 공공기관에서 복무하는 제도를 뜻한다. 그런데 112일 군사훈련을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건강검사를 받은 후에 제비뽑기를 통해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에서 복무할지를 결정한다. 육군의 정원이 가장 많기 때문에 육군으로 가는 인원이 제일 많다. 나도 육군이 되었다. 하지만 내 동생은 공군에서 복...

2일 대만 북부지역 곳곳에 물난리

1일 타이베이는 6월 역사상 최고 온도인 섭씨 38.7도 를 기록했다. 그리고 하루 뒤인 2일 대만 북부에는 시간 당 30밀리 이상에 달하는 폭우가 내렸다. 중앙기상국(中央氣象局)은 2일 오전 8시부터 대만 북부 지롱 북해안, 타이베이, 신베이, 타오위안 등을 포함하여 호우특보를 발령했다. 단수이(淡水) 지역은 큰 천둥을 동반한 호우가 집중적으로 내리면서 10여 곳 이상에서 물난리가 났다. 단쉐이 라오제에 진입하는 길을 비롯하여 일반 도로까지도 물난리가 났다. 이에 군인이 투입되어 막힌 하수도 등을 정비하고 교통정리를 하기도 했다. 단수이 라오제 / SET 타오위안 공항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었다. 갑작스런 폭우로 공항에 진입하는 도로 일부 및 지하차도가 물에 잠기기도 하였으며, 공항 내부 역시 물난리를 피하지 못했다. 하지만 오후 4시 20분 경에 모든 복구를 완료했다고 타오위안공항 측은 밝혔다. 타오위안 국제공항 / SET 타오위안공항 진입 지하차도 / SET 하지만 물난리가 나기를 은근히 바라는 사람들도 있다. 바로 사진작가들이다. 이들이 몰리는 곳은 바로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고인 물에 투영된 중정기념당의 특별한 모습을 함께 담기 위해서이다. 중정기념당 / 트위터 

10년간 대만 남성 성기 절단 사건 모두 3건! 모두 베트남 여성이…

  [픽사베이 캡처] [대만은 지금 = 류정엽(柳大叔)] 대만 자유시보, TVBS 등은 최근 10년 간 대만인 남성의 거세 사건이 3건이 있었는데, 모두 베트남 여성에 의한 것이라고  전했다.  사례1. 2011년 10월 15일 자이현(嘉義縣)에 거주하는 판(潘)모 베트남 여성은 남자 친구가 새 여자가 생긴 것에 불만을 품었다. 게다가 남성은 오랫동안 일은 안 하고 게을렀으며, 여성을 자주 구타하고 심지어 여성에게 마약을 사기 위해 돈을 요구했다.  화가 머리 끝까지 치민 판씨는 남자 친구가 마약을 투여할 때 수면제를 섞은 뒤, 남자 친구가 자는 동안 가위를 이용해 성기를 잘라 버렸다. 그리고 자른 성기는 계곡에 버린 뒤 경찰에 가 자수했다. 그는 조사에서 "(내가 한 행동에 대해) 후회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사례2. 2019년 7월 24일 신주현에 사는 베트남 여성 레이(黎)씨는 이혼 이틀만에 전 남편 천 모씨를 잠자리로 유인해 가위로 거세해버렸다. 레이 씨는 전 남편 천씨가 하는 바람끼 넘치는 행동에 불만을 품었다. 특히 천씨는 레이씨에게 거칠게 굴었다. 레이씨는 경찰서에 직접 찾아가 자수했다. 그는 매우 격앙된 목소리로 “(이혼 후) 내가 얻은 게 없다”고 토로했다.  사례3.  2021년 3월 30일 장화현에 거주하는 베트남 여성(40)은 이 여성은 남자친구 황씨(52)가 잠든 사이를 틈타 가위로 황씨의 생식기를 절단한 뒤 변기통에 버렸다. 황씨에게 새 여자가 생겼기 때문이었다. 화의는 다음날 오전 11시가 돼서야 생식기가 없다는 것을 알았다. 그는 즉시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았으나 잘린 생식기가 어디있는지 몰라 예전으로 되돌리는 데 실패했다.  자유시보에 따르면, 베트남은 일찍이 모계 사회로 여성들의 지위가 중요했다. 남녀평등권의 주장이 고개를 들기도 했다. 오랜 기간 남녀가 강한 민족적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역사 때문이다. 일부 베트남 여성은 일반적으로 바람을 피우는 남성...

최신 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