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대만 정계원로 4인, "차이잉원 총통 2020년 연임하지 말라" 공개서신


[대만은 지금 = 류정엽(柳大叔)]

차이잉원(蔡英文) 총통의 측근으로 알려졌던 대만 민진당 원로 4명이 공개서신을 통해 차이 총통의 2020년 연임을 반대하고 나섰다.



우리페이(吳澧培) 총통부 고문(資政), 펑밍민(彭明敏) 총통부 전 고문, 가오쥔밍(高俊明) 장로교 목사, 리위안저(李遠哲) 전 중앙연구원장 등은 이날 신문에 차이 총통에게 연임을 위한 선거 출마를 하지 말라는 공개서신을 냈다.

서신에는 차이 총통이 연임의 야망을 버릴 것과 헌법 53조에 명시된 행정원은 국가최고행정기관이라는 규정에 따라 신임 행정원장(총리)가 내각을 구성할 수 있도록 차이 총통은 2선으로 물러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차이 총통은 이에 관련해 "선배들이 나에게 편지를 쓴 걸 알고 있다"며 "하지만 지금은 세계에 대만인의 마음의 소리를 세계에 알리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답했다.

황중옌(黃重諺) 총통부 대변인은 이에 대해 "선배들이 국가가 직면한 어려운 부분을 이해하고 일의 우선순위를 이해할 수 있길 바란다"며 "선택 여부는 누가 말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민주제도를 믿어야 한다"고 말했다.

공개 서신 

공개 서신 전문:

致蔡總統的公開信-敬請不要參選連任

這是我們極不情願、極不希望也極其痛苦的公開信。面臨如此嚴峻、險惡的關鍵時刻;不寫,不僅有愧身為台灣人/台灣公民/綠色價值支持者的立場與身份;如此岌岌可危的情勢,也不容我們再沉默、再姑息、再坐視下去。

兩個訴求:請蔡總統放棄連任、交出行政權 退居二線

我們的呼籲與訴求非常明確:第一、請蔡總統放棄連任的野望,公開宣布只做一任;第二、請總統交出行政權,退居二線,落實憲法第五十三條「行政院為國家最高行政機關」的明文規定;由新任行政院長全權組閣。

「九合一」選舉血淋淋的現實擺在眼前,台灣派被逼到牆角,非徹底改弦更張不可。台灣人民已對蔡總統投下不信任票,也給民進黨丟出震撼彈,台灣人民沒有欠總統分毫,百分之百是總統您辜負了台灣人民的付託。2016年台灣人民歡欣鼓舞的把您送上總統寶座,又讓民進黨成為立院絕對多數黨,總統您的權力基礎之大之廣,較諸前總統李登輝有過之而無不及。不旋踵開兩年而已,選票硬生生掉了兩百萬之多,四都十三縣市只剩二都六縣市,您午夜夢迴,捫心自問,認為自己還有機會「再站起來」?人民還會支持您再戰二O二O嗎?

敗選之後,最嚴重且迫切的危機,就是台灣門戶洞開;四都是長既是「九二共識」又是「兩岸一家親」,從南到北連成一氣,台灣形同不設防的國家,中國勢力排閥而入,碧如水銀瀉地,無孔不鑽,台灣的國家安全閥眼見就要失靈了。蔡總統您還有能力長國家之舵?本來權力極大化的蔡總統,不只被打趴,而且跛足已現,如今在人民對您能力信任度極小下,還有什麼權威可以領導政府?取信人民?對抗內外交逼的邪惡?

善用行政立法權:阻卻中國統戰 遏制裡通敵國

當務之急,唯有把中央執政的力量發揮到最大。為了阻卻中國統戰、遏制裡通敵國的惡苗孳長,有而且只有強化在握的行政與立法權之一途。執政黨在國會依然多數,該立什麼法就立什麼法;徒法不能自行,還得靠中央政府把關,該嚴格執行就嚴格執行,絕不寬貸。如此雙管齊下,只有選拔一位強而有力的最高行政首長,一舉提振士氣、展現實力,而且馬上可以贏回民心;為二O二O奠下勝基。

不能徒託空言,我們也願意提出閣揆人選的條件。既然賴閣非總辭不可,我們認為最好人選,必須有理念、有能力、有行政經驗,而且有成績可以為人稱道,更重要的是完全沒有獵取大位的野心,從而可以抖落包袱,勇往直前。

剖腹相告:端看蔡總統的智慧與抉擇

這是最壞的時刻,但我們對台灣民主充滿信心,對台灣人民充滿信心;這也是最好的時刻,全世界─尤其美國─都已警戒中國的野蠻崛起,而台灣正是民主防線中的砥柱;台灣要自助才能人助。無論國內或國際情勢,「現狀」已證明是不可能「維持」的。交好美、日、歐盟等民主國家,才是趨吉避凶之道。

總統,您當然可以一意孤行,繼續做連任大夢。那麼我們可以斷言,綠營中一定有人起而爭鋒,屆時我們不得不支持另一組候選人。綠營會不會分裂?會,蔡總統您會不會連任成功?否。我們已把損益利害剖腹相告,所以分裂之咎不在我們,責任還是由您承擔。

言盡於此,端看總統您的智慧與抉擇了。

連署人:彭明敏、吳澧培、李遠哲、高俊明

[대만은 지금] 후원하기

최근 인기 뉴스

2023년 대만에서 가장 흔한 '이름'은?

  [대만은 지금 = 류정엽(柳大叔)] 최근 취업사이트 1111이 올해 대만에서 가장 흔한 이름 남녀 TOP8을 조사해 발표했다. 이름들을 살펴 보면 작명 배경에는 부모들의 '사랑'이 담겨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아이들에게서 가장 흔히 보이는 이름은 천천(辰辰), 유유(祐祐)로 꼽혔다. 평범하면서도 좋은 의미를 지녔다는 게 그 이유다.  올해 가장 흔한 남자 이름으로는 젠훙(建宏), 옌팅(彥廷), 청언(承恩), 관위(冠宇) 등으로 나타났다. 가장 흔한 여자 이름은 이전(宜蓁), 신위(欣妤), 스한(詩涵), 융칭(詠晴) 순으로 나타났다. 매우 우아하고 고상하게 들린다.  가장 흔한 남자 이름은 다음과 같다.  1위 젠훙 建宏  2위 옌팅 彥廷 3위 청언 承恩 4위 관위 冠宇 5위 유팅 宥廷 6위 핀위 品睿 7위 바이한 柏翰 8위 바이위 柏宇 대만에서 가장 흔한 여자 이름은 다음과 같다.  1위 이전 宜蓁 2위 신위 欣妤 3위 스한 詩涵 4위 융칭 詠晴 5위 즈칭 子晴 6위 핀옌 品妍 7위 위퉁 羽彤 8위 이쥔 怡君 최근 대만 부모들 사이에서 아이의 이름을 지을 때 튀지 않는 이름이 좋은 이름이라는 인식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대만인들은 "뜻도 좋아 이렇게 이름을 정하는 사람들이 많다", "흔할수록 좋다", "검색하기 쉽지 않다"는 등의 의견을 보이기도 했다. 

대만서 가장 흔한 성과 이름은?

가장 흔한 성은 '천',  가장 흔한 이름은 '지아하오', "수펀' 시대별 인기 있는 이름 있어... [대만은 지금 = 박지현(朴智賢) 기자] 대만에서 가장 흔한 성은 '천'(陳, 진) 씨고, 지아하오(家豪, 가호)와 수펀(淑芬, 숙분)을 이름으로 가장 많이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이름은 한국에서 '철수'와 '영희'쯤 되는 범국민적 이름으로 대만에서는 시장에 널린 만큼 흔해 빠졌다는 의미로 소위 ‘시장 이름(菜市場名)’이라고 불린다.

[대만 꿀팁] 대만 주소의 영문주소 표기 방법

  [대만은 지금 = 안재원]  대만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가끔 부딪히는 문제 중 하나가 바로 주소다. 사실, 중국어로 주소를 적는 것은 문제가 아니다. 한국과 대만의 주소 체계는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큰 어려움은 없다. 하지만 가끔 국제 택배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영문주소로 변환하는 것이 문제이다. 이 문제는 대만의 행정구역 단위만 대략 알고 있으면 쉽게 해결이 가능하다. 대만 주소는 일반적으로 시/현, 구, 그리고 길 이름과 번지수로 구분되어 있다. 길은 규모에 따라서 路(로)와 街(가)가 있으며 도로가 길 경우 段(단)과 弄(농)으로 구분이 된다. 그리고 마지막에 번지수가 온다. 즉 한국처럼 큰 단위부터 써내려 간다. 이에 반해 영어주소는 작은 단위부터 써내려가기 때문에 조금 헷갈릴 수 있다. 이 순서를 대략적으로 인지하고 아래 표를 본 다음 간단한 예시를 통해 복습을 해보자.   가끔 대만 주소를 보면 길 이름에 동서남북이 들어간다. 이 같은 경우도 어려울 게 없다. 그대로 영문으로 길 이름을 쓰고 東(E)、西(W)、南(S)、北(N)에 맞는 알파벳을 넣어주면 된다. 예를 들어 南京東路(남경동로)를 영문으로 변환하면 Nanjing E. Rd. 이렇게 된다. 완벽한 이해를 위해 사범대(師範大學) 주소를 가지고 예시를 들어보겠다. 사범대 주소는 台北市大安區和平東路一段162號로 표기된다. 구역을 각각 나누어 보면 아래와 같다. 台北市 – Taipei City 大安區 – Da’an Dist. 和平東路 – Heping E Rd. 一段 – Sec.1 162號 – No.162 우선 이렇게 주소를 변환한 후 영문 주소 순서에 맞게 배열하면 아래와 같은 주소가 된다. No.162, Sec.1, Heping E. Rd., Da’an Dist., Taipei City 물론 우체국 사이트에서 주소를 입력하고 변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제일 편하고 빠른 방법이기는만 이런 소소한 지식들을 알아가는 것도 해외생활의 작은 묘미라 생각한...

[대만생활] 대만 사람들이 뽑은 한국 음식 TOP 10

대만 사람들에게는 이미 한국 음식이 더 이상 낯설지가 않다. 많은 사람들이 즐겨 먹고 있으며 심지어 한국 음식을 배우려는 사람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대만에서 한국 음식점 수도 최근 2년 사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타이베이의 번화가에 가면 한 구역 건너 하나씩 볼 수 있다. 대만에서 먹는 한국 음식이 과연 한국에서 먹는 맛이 날까? 대부분의 대만 사람들의 의견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 대부분이다. 비교적 로컬화된 음식을 팔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타지에 온 유학생이나 워홀러들에게는 이것마저도 고마울 따름이다. 한국에 살다 대만으로 온 한 미국인(영어강사)은 "대만의 한국 음식은 주인이 한국 사람이어도 한국 맛보다는 대만 맛이 더 강한 편"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음식이 현지인을 상대로 현지화가 되어야 한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당연하다. 그래왔기에 오히려 한국 음식이 대만 사람들에게 더욱 사랑 받을 수 있지 않았을까? 대만 최대 설문조사 사이트 데일리뷰(dailyview) 는 약 3만 여명을 대상으로 대만 사람들이 좋아하는 한국 음식 10개에 대해 투표 방식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 했다. 조사는 2014년 10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총 6개월에 걸쳐 이루어졌다. 10위부터 살펴 보기로 하자. 10위. 짜장면 9위. 삼계탕 8위. 게장 7위. 설렁탕 6위. 닭갈비 5위. 떡볶이 4위. 족발 3위. 한국식 전류 (해물전, 김치전 등) 2위. 치킨 1위. 한국식 BBQ  대만 사람과 함께 식사할 기회가 있다면 한번 참고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대만은지금   @  柳大叔, 愛臺灣的韓國人 제보/후원/제휴 문의: nowformosa@gmail.com  Facebook Page: www.facebook....

[대만인 기고] 대만 군대 생활(1) - 청궁링(成功嶺)훈련소에서 기초군사훈련을 받다

  [차오중닝 제공 = 대만은 지금] *편집자 주: 대만인 독자께서 한국어로 직접 정성스럽게 써서 보내주셨습니다. 최소한의 편집으로 원고의 느낌을 살리고자 하였습니다. 대만스러운 표현이 있더라도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본 원고는 '대만은 지금'의 의도와는 무관함을 알려드립니다. [글 = 대만인 차오중닝(曹仲寧)] 핵무기로 유명한 북한은 한국의 북쪽에 위치하며, 많은 사람이 '세계의 민폐'로 간주하는 중국은 대만의 서쪽에 있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대만 남자도 군대에 가야 된다. 대만은  2012년부터 1994년 이후 출생자를 대상으로 5주 기초군사교육과 11주 군사특기 교육으로 의무복무 기간이 축소되었다.   대만 남자는 548일을 복무하는 한국 남자와 비해, 운이 좋은 것 같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에게 있어서 군대에 가는 것 자체가 기분이 썩 좋지 않은 일이기에 복무기간이 한국보다 짧다 해도 군대라는 것 자체가 힘겹게 들린다. 대부분의 한국 남자들은 대학교 2학년이 되기 전에 군대에 간다고 들었다. 대만에는 남자가 고등학교나 대학교에서 졸업한 후에야 군대에 가는 경우가 흔하다. 고3이나 대학교 4학년 때 구/시/군청 병역과가 보내는 건강검사 통지서를 받는다. 지정된 날에 병원에서 건강검사 통지서를 가지고 건강검사를 받아야 한다. 검사의 목적은 사람의 체력 상태가 군대에 맞는 지 확인하는 것이다. 어떤 사람은 병역 면제를 위해서 건강검사를 받기 전날 고의적으로 나쁘게 식사를 하고, 비만 혹은 체중 부족 등을 이유로 병역 면제를 원한다.  그리고 체대역을 복무하는 상황도 점점 늘고 있다. 체대역은 군사훈련을 대신하여 공공기관에서 복무하는 제도를 뜻한다. 그런데 112일 군사훈련을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건강검사를 받은 후에 제비뽑기를 통해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에서 복무할지를 결정한다. 육군의 정원이 가장 많기 때문에 육군으로 가는 인원이 제일 많다. 나도 육군이 되었다. 하지만 내 동생은 공군에서 복...

[코로나] 7월 21일 신규 확진자 25명(해외 9명), 사망자 5명

  [중앙전염병지휘센터]  [대만은 지금 = 류정엽(柳大叔)] 21일 대만에서 25명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와 사망자 5명이 나왔다고 대만 중앙전염병지휘센터가 이날 밝혔다.  신규 확진자 25명 중 대만내 사례는 16명이다.  지역감염 분포를 보면 타이베이시 9명, 타오위안시 5명, 신베이시 2명이다.  이날 해외사례가 유난히 많았던 이유에 대해 찬스중 위생복리부장은 해순서(해경)에 의해 적발된 밀항자들이 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5월 11일부터 7월 19일까지 1만4231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으며 그중 1만2382명(87%)이 격리해제됐다.  21일까지 누적 확진자수는 1만5478명, 누적 사망자수는 778명이다.

최신 소식